문 대통령, 취임 후 첫 군 방문하며 '적(敵)' 표현 사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취임 후 처음으로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를 방문한 자리에서 “우리 군은 적의 어떠한 도발도 용납하지 않고, 적이 무력도발을 감행한다면 즉각 강력 응징할 수 있는 의지와 능력을 갖고 있다”며 "앞으로 그런 역량을 더 키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사실상 북한 겨냥…"응징" 단어도 써 #전군 지휘관 불러 "북 도발 결코 용납 안해"

문 대통령은 대선 기간중 TV토론에서 북한을 향해 '주적'이란 표현을 사용하는 문제를 놓고 "대통령이 할 말은 아니다"라며 신중한 자세를 취했다.
하지만 이날은 사실상 북한을 겨냥해 '적'이라고 표현하고, '응징'이란 단어까지 사용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4일 북한이 중거리탄도미사일(화성-12형)을 발사하자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회의를 주재하면서 “북한의 도발을 강력 규탄하며 단호하게 대응하겠다”고 경고하는 등 대선후보 때와는 입장이 달라지고 있다.

 이날도 문 대통령은 전군 지휘관들이 모두 참석한 가운데 “(지난 14일) 탄도미사일 발사는 유엔 안보리 결의에 위반하는 중대한 도발행위이자 한반도는 물론이고 국제 평화와 안정에 대한 심각한 도전행위”라고 규정한 뒤 “북한의 도발과 핵 위협을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권은 유한해도 우리가 사는 한 조국은 영원하다. 대통령이 바뀌어도 군의 국방 태세는 한 순간도 이완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국방개혁’도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노무현정부시절)국방개혁 2030을 통해 설계했던 국방개혁 방안의 조속한 실행과 방산비리 재발 방지를 위해서도 각별한 노력을 당부드린다”며 “국방예산을 점차 증액하고 강력한 국방개혁을 추진해, 재래식 전쟁은 물론이고 사이버전ㆍ대테러전ㆍ우주전 등 미래전에 대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서해 북방한계선(NLL)과 군사 분계선 일대에서의 군사적 충돌 가능성도 높은 게 오늘의 안보 현실"이라며 "하지만 나는 우리 군을 믿는다”고 군을 격려했다. 이날 문 대통령의 국방부 방문엔 바른정당 소속 김영우 국회 국방위원장과 민주당 소속 김진표·이종걸·이철희·진영 의원, 정의당 김종대 의원 등이 동행했다.

이철재ㆍ강태화 기자 seaja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