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AI·VR 대한민국 명장 생긴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중앙포토]

[중앙포토]

 대한민국명장 직종에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인공지능 등의 분야가 신설되고 산업수요가 적은 물류관리, 피아노조율 등의 직종은 폐지된다.

유사 직종 통합, 수요 적은 직종 폐지 #심사기준도 강화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은 3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대한민국 명장 선정 및 운영체계 개편방안'을 발표했다. 대한민국 명장은 산업현장에서 15년 이상 종사하고 최고 수준의 숙련 기술을 보유한 사람을 말한다. 1986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616명이 명장으로 선정됐다.

고용부는 산업기술 변화에 맞춰 유사한 직종은 통합하고, 산업 수요가 적은 직종은 폐지하기로 했다. 기존 22개 분야 96개 직종에서 37개 분야 97개 직종으로 개편된다.

먼저 직무범위가 유사하고 현장에서 직업으로 인정되지 않는 일부 직종은 통합한다. 기계정비와 농업기계정비, 중기계정비, 건설기계는 '기계정비'로 합친다.

최근 10년간 신청자가 없고 산업 수요가 적은 광산보안, 시추, 포장직종은 폐지했다. 최근 5년간 신청자가 없거나 극소수였던 물류관리, 피아노조율 등 5개 직종도 사라졌다.

대신 산업기술 변화에 따라 신기술 및 고숙련 인력 수요가 증가하고, 신설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인공지능(AI), 나노기술, 빅데이터, 로보틱스, 자동차튜닝 등 12개 직종이 신설된다.

선정기준도 개선한다. 기존 직종별 선정에서 분야별로 변경하고, 서류심사 평가 항목을 간소화하기로 했다. 심사단계별 컷-오프(cut-off)제를 도입해 서류심사 70점 이상자 전원을 현장심사 대상으로 확대한다.

또 명장 선정시 전문위원 활용을 확대하고 전문위원추천위원회를 구성, 운영해 심사의 전문성과 공정성을 높이고, 단계별로 우수숙련기술자 및 숙련기술전수자를 거쳐 명장으로 선정되도록 선정방식을 개선했다.

우수숙련기술자는 숙련기술을 보유하고 해당 분야 생산업무에서 7년 이상 종사한 사람을 말한다. 숙련기술전수자는 세대간 단절이 우려돼 전수가 필요한 분야 등에서 15년 종사하고 숙련기술을 전수하려고 하는 자가 선정된다.

이밖에 대한민국명장, 우수숙련기술자로 선정된 숙련기술인의 지식·기술을 사회에 환원할 수 있도록 숙련기술인에게 역량강화 프로그램 지원을 연간 1회 이상 제공키로 했다. 또 대한국명장, 우수숙련기술자 등을 대상으로 기술창업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숙련기술인들간 인적네트워크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고혜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박사는 "이번 개편안은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명장 직종 정비, 우수숙련기술인 상호간 경력경로를 제시하는 등 시의적절하게 대한민국명장제도를 재 정비하는 것으로 숙련기술인들이 우대받는 능력중심사회로의 저변 확대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