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내 집 마련하려면 얼마나 걸릴까

중앙일보

입력

서울에서 내 집 장만을 하려면 4차례 전월 셋집을 옮겨 다니며 8년간 돈을 모아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일 국토연구원이 ‘2016년도 주거실태조사’를 통해 조사한 결과 지난해 서울에서 생애 첫 집을 마련하는 데 걸린 기간은 평균 8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 평균 6.7년보다 약 1년 이상 긴 기간이다. 이 기간 서울에 집을 마련한 이들은 평균 4차례의 이사를 했다.

[사진 중앙포토]

[사진 중앙포토]

서울 집값은 연 소득 대비 8배 이상 높다.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이 중위수 기준 8.3배다. 전국 PIR은 5.6배이고, 전북(3.3배)과 전남(3.4배)은 서울의 절반 이하다.

서울에 사는 세입자 10명 중 4명은 소득 대비 주거비 부담이 과다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서울 지역 세입자 가운데 월 소득 30% 이상을 주거비로 지출하는 경우가 40%에 달했다.

월 소득 대비 임대료 비율(RIR: Rent to Income Ratio)이 30%가 넘으면 과다한 수준으로 본다.

특히 홀로 사는 노인은 임대료가 소득의 절반 수준일 정도로 주거비 부담이 더 컸다. 노인 1인 가구 RIR이 중위수(한 줄로 세울 때 가운데 값) 기준 50.3%에 달한다. 서울 전체 세입자의 RIR은 22.2%인 데 비해 이는 지나치게 높은 수준이다.

자가 점유 비율은 42%다. 70%는 주택임차료와 대출금 상환을 부담스러워했다.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