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사드 영향 중국 관광객 감소 피해, 메르스 때처럼 확산 가능”

중앙일보

입력

사드(THAADㆍ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문제로 중국인 관광객이 발길을 끊으면서 생긴 피해가 메르스처럼 큰 규모일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중국 일본 의존도 높은 관광업 체질 바꿔야 #관광객 다변화 위해 조건부 무비자 가능 #관광 지역과 활동도 다변화해야 #관광 콘트롤타워 구성 고려해볼만 #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2일 “사드로 인한 관광산업 피해가 메르스 사태처럼 큰 규모로 확산할 수 있다”고 우려하면서 “기간도 일본 독도 분쟁 이후처럼 장기간 이어진다면 수십억 달러 피해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전경련은 대책으로 ^중국과 일본에 과도하게 의존했던 관광 체질을 개선 ^관광 지역과 활동 다변화 ^ 콘트롤타워 구성 ^ 동남아 관광객의 일시적 무비자와 같은 규제 완화 등을 제안했다.

전경련에 따르면 현재 한국을 찾는 외국인의 중국인 비중이 46.8%에 달한다. 관광객이 절반으로 감소했던 메르스 사태와 같이 큰 규모의 충격이 올 수 있다. 메르스 사태의 여파가 지속한 2개월여 동안 관광수입이 전년 동기 대비 약 12억 달러 감소했다. 사드 같은 외교 문제는 장기간 지속할 가능성이 높아 더 큰 문제다. 전경련은 “실제로 한국을 방문하는 일본 관광객은 2012년 독도 마찰 이후 3년에 걸쳐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으며 이 수치는 현재까지도 회복되지 않고 있다” 밝혔다.

한국을 찾는 외국 관광객은 중국(46.8%), 일본(13.3%), 미국(5.0%) 등 상위 3개국 비중이 전체의 65%를 넘는다. 반면 관광 대국인 태국은 상위 3개국 의존도가 42.2%다. 이탈리아와 프랑스 등 유럽 국가도 40% 정도다. 이들 국가는 최상위 국가의 관광객 비중이 20%대를 넘지 않아 중국에 절반 가량을 의존하는 한국과 큰 차이를 보였다.

 관광객이 서울만 찾는 것도 문제다. 외국 관광객들은 서울 78.7%, 경기 13.3% 등 수도권을 위주로 여행하고 있다. 관광자원이 풍부한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를 방문하는 경우는 평균 3.1%에 불과했다. 여기에 한국을 찾아 하는 주요 활동은 쇼핑(71.5%)이라 보다 많은 체험형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전경련은 “관광 다변화를 위해 동남아 관광객의 비자 절차를 일시적으로 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대만의 경우 지난해 중국의 관광 제한으로 중국 관광객이 16.1% 줄었지만 외국인 관광객 유치 실적 사상 최대치(1069만명)를 달성했다. 동남아 국가의 조건부 무비자를 확대하고 적극적인 해외 마케팅으로 비중국인 관광객 수를 늘려 가능해진 일이었다.

이밖에 관광 콘트롤타워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일본의 경우 2008년 관광청을 신설해 동남아 비자발급 요건 완화, 면세점 즉시환급제 도입 등 신속한 규제 완화와 제도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추광호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관광 산업은 소규모 숙박시설, 영세 관광버스, 지역 식당 등의 일자리와 생계가 밀접하게 연결된 내수 산업”이라며 “사드로 중소, 영세 기업 피해가 특히 클 것으로 우려되는 만큼 정부가 비상 컨트롤 타워를 구성해 속도감 있게 현안들을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영선 기자 azu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