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 메르스 사태 막자” 서울·인천·경기 수도권 지자체 뭉쳤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조류인플루엔자(AI)나 중증급성호흡기감염증(SARI) 등 글로벌 감염병 차단을 위해 수도권 광역 지자체 협력 기구인 ‘수도권 감염병 공동협의회(이하 협의회)’가 10일 출범한다. 감염병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인천시 등이 힘을 모으기로 했다.

‘감염병 공동협의회’ 오늘 출범 #공동 방역 등 인적·물적 자원 공유

서울시와 인천시, 경기도는 수도권 지역의 감염병 감시와 대응을 위해 상호 협력하며, 혹시라도 모를 감염병 발생 시에는 공동 방역 등 인적·물적 자원도 공유하는 식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시민의 생활권이 확대되면서 단일 지자체의 대응으로는 감염병 차단에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실제 2015년 중동호흡기중후군(MERS) 발생 당시 국내 의심환자 200명 중 총 167명(84%)이 수도권(서울시·인천시·경기도) 지역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이들 환자 중 상당수는 수도권의 병원 여러곳을 오가며 검진과 치료를 받았다.

여러 노력에도 불구하고 광역 지자체 각자의 노력으로는 감염병 예방에 한계가 있는 게 현실이다.

서울시는 인구밀도가 높고 생활 환경의 특성상 전국 병·의원의 4분의 1이 분포해 있어서 서울시민 뿐 아니라 타 지역 감염병 환자가 유입되는 일이 많다. 인천시 역시 인천국제공항과 인천 항만 등이 있어 지리적으로 감염병 유입에 취약하다. 최근 해외여행객의 인천국제공항 이용률은 78%에 달한다. 경기도는 대도시와 농어촌 지역이 광범위하게 섞여 있어 감염병의 종류가 다양하고 발생도 잦은 편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9일 “조류인플루엔자나 중동호흡기증후군 등 감염병에 신속히 대응하려면 수도권 지자체가 제대로 힘을 합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서울시는 시민 뿐 아니라 수도권 전체 주민의 안전을 위해 감염병 예방과 확산 저지를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수기 기자 retali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