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사드, 차기 정부에서도 유지…국가 간 합의 존중"

중앙일보

입력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에 대해 “차기 정부에서도 유지해야 한다”고 9일 밝혔다.

안철수 국민의당 의원이 7일 서울 역삼동 디캠프에서 청년창업자들이 참석한 자리에서 '과학기술-창업' 정책을 발표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의원이 7일 서울 역삼동 디캠프에서 청년창업자들이 참석한 자리에서 '과학기술-창업' 정책을 발표했다.

안 전 대표는 이날 SBS 방송에 출연해 “집권할 경우 사드를 처음부터 재검토해야 하냐”는 질문에 “국가 간 합의는 다음 정부에서도 존중해야 한다”며 이같이 답했다.


안 전 대표는 중국의 사드 배치와 관련된 보복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안보에 있어서 가장 큰 위협은 북핵이고 우리가 그 문제에 대해서는 우리의 동맹국인 미국과 함께 대처할 수밖에 없다는 걸 중국 정부에 이해를 시켜야 한다”며 “한반도가 불안정해지면 사실은 그건 중국 국익에도 손해이다”고 말했다.

"사드 반대 국민의당 당론, 내가 대선주자 되면 바뀔 것" #"북핵 문제, 동맹국 미국과 함께 대처할 수밖에 없어" #"헌재 판결 결과 승복 당연...헌법 질서에서 풀어야" #정치인들 국민 통합에 앞장서야

안 전 대표의 국민의당의 사드 배치 반대 당론에 대해서도 “대선 때가 되면 대선 후보들이 중심이 되어서 전체적인 약속들을 하게 된다. 대선 국면이 되면 제가 드린 말씀대로 국민께 약속드리게 될 것이다”며 변경을 시사했다.


북핵 해법에 대해서는 “우리가 제재하는 이유는 제재한 끝에 우리가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조건으로 협상 테이블을 만들기 위해서다”며 “지금은 그 과정을 밟아가야 할 때”라고 말했다. 북한의 핵보유국 인정에 대해서는 “핵보유국으로 인정받는 것은 그 국가가 핵에 대해 책임지고 관리할 능력이 있을 때”라며 “저는 북한은 절대 핵보유국으로 인정해선 안 된다고 본다”고 말했다.


안 전 대표는 헌법재판소의 탄핵 선고에 대해서는 “국가 위기의 한복판에서 대단히 중요한 결정을 앞두고 있다”며 “헌재의 탄핵 인용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고 절망의 미로에서 희망의 큰길로 나가는 분기점이다”고 말했다. 안 전 대표는 “탄핵이 인용될 것을 확신하지만 그렇지 않으신 국민들의 마음도 깊이 헤아리겠다”고 말했다.

안 전 대표는 “헌재가 기각을 결정하더라도 승복할거냐”는 질문에는 “승복은 당연하다고 본다”며 “헌법 질서 하에 모든 것을 풀어야 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어떤 결과가 나오더라도 저를 포함한 정치인들은 국민통합에 나서야 한다”며 “지금 사실은 적이 바깥에 있다. 이렇게 위함한 상황의 대한민국을 함께 풀어나가는 지혜가 시급하고 정치인들이 앞장서야 한다”고 말했다.


안 전 대표는 박 대통령의 승복 문제에 대해서도 “승복하는 게 당연하다”면서 이런 입장을 국민 앞에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전 대표는 대학 입시 정책과 관련해서는 “다음 정권이 되더라도 아무리 마음에 안 들더라도 지금 현재 예고된 그 입시 제도 큰 틀에서 바꾸지 않고 미래예측 가능하게 만들어야 한다”면서도 “입시 제도가 지금 너무 복잡하고 종류가 많다. 이것의 숫자를 줄이고 단순화하는 일은 다음 정부가 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대선에서 문재인 후보를 제대로 돕지 않았다는 정치권 일각의 지적에 대해선 “제대로 안 도와줘서 졌다는 주장은 스스로 후보 자격이 없다는 말과 똑같다”며 “그 추운 겨울날 그렇게 열심히 지원유세를 했는데 나중에 적극적으로 안 도와줘서 졌다는 주장은 자원봉사자들의 마음에 두 번 못을 박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안 전 대표는 최근 이같은 주장을 제기하는 정치권에 대해 “짐승만도 못하다”고 말했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