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제조업 시간급 3.6달러, 브라질·멕시코보다 50% 높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3면

“시장은 거대하지만 예대율(예금 대비 대출금 비율) 규제 때문에 옴짝달싹할 수 없다. 현지 직원들의 임금이 점점 올라 부담도 커지고 있다.”

부메랑 된 가파른 임금상승 #저임금 노린 외국기업 진출이 촉발 #시진핑 내수경제 전환 추진도 원인

2011년 일찌감치 중국에 진출한 한 시중은행 부행장은 중국 시장에 대해 “독이 든 성배”라는 비관적인 평가를 했다. 하루가 다르게 성장하는 중국 경제는 탐나지만, 막상 현실은 속 빈 강정 같다는 것이다. 자국 기업을 보호하기 위한 강력한 규제로 수익은 내기 어려운 반면 경영 부담은 날로 커지고 있다.

중국사회과학원이 지난달 내놓은 ‘국민 임금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전체 근로자 평균 임금은 2004~2015년 사이에 2.95배 올랐다. 2015년 기준 베이징 근로자의 평균 연봉은 11만1000위안(약 1832만원), 상하이는 10만9000위안(약 1799만원)이었다. 세계 여느 도시와 견줘도 적지 않은 수준이다.

자료: 한국은행·수출입은행·무역협회

자료: 한국은행·수출입은행·무역협회

유로모니터인터내셔널에 따르면 중국 제조업 근로자들의 평균임금은 2005~2016년 3배 올라 시간당 3.6달러를 기록했다. 2016년 2.7달러의 브라질과 2.1달러의 멕시코보다도 50%가량 높았다. 포르투갈의 시간당 임금(4.5달러)의 70%에 육박하며, 한국(15.8달러)의 23% 수준이다.

중국 근로자의 가파른 임금 상승은 저렴한 인건비와 높은 성장 가능성을 노리고 해외 기업들이 대거 진출했기 때문이다. 중국은 2001년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하면서 상당 부분 개방했다.

개방과 함께 중국 특유의 규제가 작동했다. 중국은 자국에 진출한 해외 기업들에 공장 등 생산설비와 부동산의 기부채납을 의무화하는 한편, 자동차·철강·전자 등 핵심 기간산업의 외국인 투자를 제한했다. 합작 투자 시 외국인 투자 비율이 절반을 넘지 못하도록 제한해 경영권은 결국 중국인 소유가 됐다. 중장기 성장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중국에 진출한 기업들로서는 진퇴양난에 빠졌다. 2010년 459억 달러에 달했던 중국에 대한 외국인의 해외직접투자(FDI) 순유입 규모는 2015년 80억 달러로 쪼그라들었다. 중국 시장에 큰 기회가 없다고 판단한 셈이다.

시진핑 국가주석의 정책 노선 변화도 현재로서는 악수(惡手)로 작용하고 있다. 시 주석은 2014년 양회와 2016년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중국 경제의 체질을 수출주도형에서 내수형으로 바꿀 것이라고 밝혔다. 해외 의존도를 낮춰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의도였다. 기업엔 근로자 임금을 높여줄 것을 독려했다. 결과적으로 하락하던 중국의 임금상승률은 2015년 들어 11.5% 늘며 반등에 성공했으나, FDI의 유출도 1000억 달러 규모로 확 늘었다. 심지어 중국 기업들의 해외 진출도 늘고 있다.

2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 기업이 미국에 공장을 짓기 시작했다”며 “국경조정세 등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공약이 실현될 경우 이 추세가 가속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의 컨설팅회사 로디움그룹에 따르면 중국 기업들은 지난해 34건(14억 달러) 등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778건(86억 달러)의 미국 투자를 단행했다.

중국 경제는 저임금의 혜택과 풍부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수출·제조업 중심의 고속 성장을 일궈왔다. 그러나 임금이 증가하고 생산성이 떨어지면서 국내총생산(GDP) 성장률도 6%대로 떨어졌고 잠재성장률 역시 하락하는 추세다. 현재까지의 성장방식을 버리고 내수중심형 경제체제로 전환하는 데 몸살을 앓고 있는 셈이다.

한국은행은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의 산업 효율성이 저하되면서 부유해지기 전에 늙어가는 ‘미부선로(未富先老)’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과 중국이 고령화 사회에 도달하는 시기는 각각 2000년, 2002년으로 비슷하지만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각각 1만4989달러, 2047달러로 차이가 컸다.

김유경 기자 neo3@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