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중앙시평

작심삼일(作心三日)의 심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왜 작심삼일인가? 목표를 성취함으로써 오는 긍정적 결과와 그에 대한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목표를 향한 의지와 노력을 계속 유지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담과 이브가 그랬듯이 인간은 원래 유혹에 약한 것일까? 유혹이 주는 순간의 만족에 현혹되어 목표를 달성했을 때 얻을 더 큰 만족감을 포기해 버리는 것은 아닌가?

그렇다면 인간은 목표 달성을 방해하는 유혹에 얼마나 잘 견딜 수 있는 것일까? 이에 관해 심리학자들은 일명 '마시멜로' 실험을 하였다. 네 살 아이 앞에 아이가 좋아하는 마시멜로와 사탕을 두고 실험자가 다시 돌아올 때까지 참고 기다리면 이 두 가지 모두를 주고, 기다리지 못하는 경우 앞에 있는 벨을 누르면 그 즉시 실험자가 돌아와 둘 중 한 가지만 주겠다고 설명한 뒤 아이를 혼자 남겨두고 나간다. 먹고 싶은 유혹을 견디고 실험자가 돌아올 때까지 참고 기다리는 게 더 큰 결과를 가져오는 목표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참아내기 어렵다는 좌절감과 빨리 먹고 싶다는 강한 욕구 때문에 벨을 누르고 싶은 유혹은 점차 커진다. 그리하여 어떤 아이들은 도저히 참지 못하고 벨을 누르거나, 심지어 벨을 누르기도 전에 먹어 버리기도 한다. 반면 순간적 유혹을 참아내면서 만족을 지연시켜 목표를 성취하는 아이도 있다. 이 아이들은 마시멜로의 달콤한 유혹을 떨쳐 버리기 위해 소풍이나 놀이터에서 즐겁게 놀았던 때를 생각하거나, 일부러 다른 장난감을 가지고 놀면서 유혹으로부터 자신의 주의를 다른 곳으로 분산시키는 전략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어린아이도 목표를 위해 이를 방해하는 유혹을 조절해야 한다는 것과, 잘 참아내려면 특별한 대처 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유혹을 잘 참는 아이는 높은 자존감을 가지고 있었고, 스스로 스트레스 상황을 잘 극복할 수 있다고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었다. 즉 유혹을 물리칠 수 있다는 자신에 대한 믿음이 목표를 이루게 하는 추진력이 되는 것이다. 흥미로운 것은 어린 시기의 만족을 지연시킬 수 있는 이와 같은 능력은 이후의 성공과 관련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다. 마시멜로 실험에 참여한 아동들을 10여 년 뒤까지 추적해 본 결과 만족 지연을 잘했던 아동들이 청소년기가 되어 대인 간 관계를 위한 사회적 능력,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능력이 훨씬 높았고, 인지능력도 뛰어나 대학수능시험(SAT)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또 성인이 되어서도 더 효율적이고 계획적이며 목표 지향적인 행동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렇듯 유혹으로부터 얻는 순간의 만족을 지연시킬 수 있는 능력이 계획했던 목표를 이루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새해가 시작된 지 벌써 한 달이 지나간다. 새해 첫날 세웠던 계획은 잘 이루어지고 있는가? 계획은 성취라는 결과를 얻어야 그 존재감을 얻게 된다. 그 성취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지, 더 큰 결과를 얻기 위해 계획을 방해하는 유혹으로부터 잘 견디고 있는지, 작심삼일이 되지 않도록 내 앞에 놓여 있는 마시멜로의 유혹으로부터 만족을 지연시킬 나만의 전략을 만들고 있는지, 그리고 그 유혹을 물리치고 목표를 이룰 수 있다는 자신에 대한 믿음은 충분한지 지금 다시 되돌아볼 때이다.

곽금주 서울대 교수.심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