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희정 "박정희 시대 국가운영 철학, 극복해야"

중앙일보

입력

대권도전을 선언한 안희정 충남지사가 박정희 시대의 국가운영 철학과 리더십을 극복해야 한다고 밝혔다. 안 지사는 1일 오전 MBC 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서 진행한 인터뷰를 통해 "대한민국 5천만 모두의 공익을 지키는 민주주의와 민주주의 리더십은 형성되고 있지 못하다"며 이 같이 말했다.

안 지사는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과제는 국가적인 공익, 국민 모두의 공익이라고 하는 측면보다 정당은 지역적 이익에 갇혀 있고, 또 대통령 역시 이념과 지역에 갇혀 있다"며 "이것이 바로 지난 박정희 시대의 국가운영 철학이었고 리더십이었다. 이것을 극복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권의 친문패권, 친박패권 등 이른바 '패권주의'와 관련한 질문에 안 지사는 "저는 친문패권에 대해선 동의하지 않는다"며 "현재 추미애 대표님을 비롯한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당의 최고위원들이 당헌과 당규에 따라서 실질적 리더십을 행사하고 있다. 공식적인 당의 지도체계를 뒤엎는 다른 비선 패권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 진행자의 '유일한 기준은 국익이 될 수밖에 없다, 이런 취지의 말씀하셨는데 국익에 도움이 된다면 우파정책도 과감하게 수용할 수 있다고 해석해도 되는가' 질문에 안 지사는 "극단적인 찬반논쟁에서 더 한 걸음 못 나가는 것이 낡은 정치라고 저는 보는 것"이라며 "지금 국민이 요구하는 새로운 정치는 모든 견해를 통합해서 없는 걸로 하자는 요구가 아니라 이 현실의 문제를 풀기 위해서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경쟁해달라고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안 지사는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이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밝힌 '개헌추진협의체' 구성 제안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견해를 밝혔다. 안 지사는 "지금 국회에서 개헌특위가 가동 중인데 무슨 제안이었는지 저는 얼른 이해가 안 간다"며 "지금 대선에 출마하시는 분들이 개헌을 가지고 자꾸 얘기하시는 것은 대선의 어떤 선거전략처럼 느껴진다"고 말했다.

또,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를 이어가겠다는 과거 발언과 관련해 안 지사는 "녹색성장도 사실은 지속가능한 발전철학에 입각해 기후변화와 새로운 성장모델을 만들어야 된다는 기본 문제의식으로서는 좋은 제안"이라며 "정권이 바뀔 때마다 서로 자기 이름을 붙였을 뿐, 이런 식의 정책공약들이 오히려 더 많은 세금을 낭비하게 만들고 정책의 기조를 더 흔들 뿐이어서 저는 역대 대한민국 정부가 그 시대 국민과 합의해서 추진해왔던 긍정적인 모든 정책들을 계승하고 더 심화시키고 발전시키겠다는 말씀을 드린 것"이라고 밝혔다.

오원석 기자 oh.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