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창원 "노인폄하 아니다" 해명에도 사그라들지 않는 정치인 정년논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모든 공직에 65세 정년 도입하자”는 주장을 해 파문을 일으킨 더불어민주당 표창원 의원이 해명에 나섰다. 논란이 거세지자 표 의원은 “노인 폄하나 어르신 전체에 대한 얘기가 전혀 아니다”고 했다.

표 의원은 18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제가 그동안 경찰, 교수 또 여러 직업들을 해왔는데 다 정년이 있었다. 그런데 정치인이나 고위급 장관들은 정년이 없고 연세도 많으신 분들이 주로 차지하고 계시는 것을 보고 생각을 정리해 본 것"이라고 설명했다. 65세면 할머니 할아버지도 아니다. '한창 일할 나이인데 현실을 외면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표 의원은 "그게 일반직 공무원이나 일반 직장에 적용돼야 하는 것 아니냐. 임금피크제, 성관연봉제, 유연근로제로 다 정리하고 쉬시라고 강제로 내쫓고는 특수기득권 층만 특권을 쥐고 있다"고 주장했다.

73세인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을 겨냥한 것 아니냐는 의심에는 "특정후보를 염두에 두고 쓴 글은 아니다"면서도 "반 전 총장이 떠오르지 않은 것은 아니다. 문재인 전 대표도 63세라 내가 말한 65세에 근접해있다"고 했다. 표 의원은 그러나 "독일 사례를 보면 시장 군수에 주 별로 60세~67세까지 출마 연령 상한을 두고 있고 그 경우 당선되면 임기는 채울 수 있도록 한다"고 했다. 문 전 대표가 당선될 경우 임기는 마치게 하자는 얘기다.

채윤경 기자 pcha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