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ATM 확대 소식에 “편리할 듯” “돈 거래 추적당해” 의견 갈려

중앙일보

입력

북한의 전자결제카드[사진 머천페이먼트게이트웨이 블로그스팟]

북한의 전자결제카드[사진 머천페이먼트게이트웨이 블로그스팟]

 
북한에서 은행 현금 자동인출기(ATM) 설치가 확대된다는 소식에 내부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6일 북한 내부 소식을 다루는 일본 매체 아시아프레스는 지난해부터 북한 당국이 ATM과 전자 결재 카드를 확대한다는 소식에 “편리하다”는 반응과 “돈 거래 정보가 공개돼 통제당할 것 같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아시아프레스에 따르면 두만강 인근의 함경북도 회령시에 사는 한 북한 취재원은 “지난달부터 금융 결제 체계가 바뀌고 있는 것 같다”며 “지방 은행이 ATM을 설치하고 카드를 발급 받는 주민이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카드는 북한 청진시나 회령시 지점에서 발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카드는 북한 말로 ‘나래’나 ‘전성(全盛)’이라는 이름이 인쇄돼 발행된다. 카드를 발급 받으려면 이름과 주소, 전화번호가 있어야 하고 발급 비용은 북한 돈으로 1만원이다. 아시아프레스는 북한 돈 70원이 현재 1엔(약 10.25원)이라고 밝혔다. 한국 돈으로 북한 카드 발급 비용은 1464원이 된다.

이 취재원은 해당 카드를 통해 전화요금을 은행과 우체국에서 결제할 수 있다고 전했다. ATM은 청진시와 같은 대도시에만 설치됐었는데 지난달부터 중소도시에도 구경할 수 있게 됐다. 또 다른 북한 취재원은 “전에는 우체국을 통해 송금했는데 수수료가 10% 였다”며 “북한 은행 카드를 이용하면 수수료가 1%에 그쳐 더 확대될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함경북도 무산군의 다른 취재원은 “당국이 돈 흐름을 다 추적하기 때문에 적은 돈은 몰라도 많은 돈은 현찰로 거래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민상 기자 kim.mins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