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헌 저지 문건' 파문 일파만파…민주연구원장 김용익 사의 표명

중앙일보

입력

 

더불어민주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 김용익 원장이 4일 사의를 표명했다. 최근 논란이 된 ‘개헌 저지 문건’에 대한 책임을 지겠다는 이유에서다.

김 원장은 이날 오전 당 최고위원회 비공개 회의에서 “내가 지도 감독을 제대로 못했고, 원장으로서 판단을 제대로 못한 것이니 나의 사퇴로 사태를 정리해달라”며 사의를 표명했다. 당 지도부는 김 원장에게 “일단 진상조사가 완료될까지 기다려달라”며 사의를 만류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민주연구원은 정치권 개헌 논의 저지를 위한 보고서인 ‘개헌 논의 배경과 전략적 스탠스 & 더불어민주당의 선택’을 당내 친문(문재인) 인사들에게만 전달해 논란이 됐다. 이에 추미애 대표는 “내가 지시한 것이 아니다”라며 진상조사를 예고했고, 안규백 사무총장을 중심으로 한 진상조사위원회가 꾸려진 상태다. 이날 문건을 작성한 것으로 알려진 문병주 수석연구위원은 보직해임 후 대기 발령 조치가 이뤄졌다.

당 안팎에서는 김 원장의 사퇴를 이번 문건 논란으로 인한 비문 그룹의 반발 목소리가 높아지자 파문을 조기 진화하기 위해 지도부가 발 빠르게 움직이는 것으로 해석한다. 실제로 김부겸 의원은 이날 공식 논평을 내고 “당 기강이 바로 서기 위해서는 연구자에 대한 징계를 철회하고 책임을 연구원장에게 물어야 한다”며 “특정 후보 편향 전략보고서에 대한 책임을 연구자에게 돌리는 것은 전형적인 꼬리자르기”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 원장은 언론과의 전화통화에서 “보고서 작성자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하니, 원장으로서 난감했다. 직원들 볼 낯이 없지 않느냐”며 “당 지도부에 오전에 구두로 사의를 표명했고 향후 사표가 수리되면 즉시 직을 내려 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잘못을 회피할 생각이 전혀 없다. 자리에 연연할 생각도 없다”면서도 “편파적이라는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항변했다.

이지상 기자 ground@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