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잘 하고 있다" 35.1%...대국민 인식조사

중앙일보

입력

서울대학교병원이 국가중앙병원으로서 역할을 잘 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는 35.1%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은 한국갤럽연구소에 의뢰해 지난해 11월 22일부터 30일까지 전국 20세 이상 성인 9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서울대학교병원 대국민 인식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3%) 결과를 3일 발표했다. 국가중앙병원은 일반적으로 국가 의료정책 시행이나 전염병으로 인한 국가 위기 상황에 주도적으로 나서는 병원을 가리킨다. ‘국가중앙병원’으로 상기되는 병원으로 서울대병원을 꼽은 응답자가 27.5%로 가장 많았다.

국가중앙병원으로 서울대병원 인식률 27.5%
"응급상황시 체계적 의료지원 강화해야"

조사 결과 서울대병원의 역할 수행에 대한 평가에서 ‘매우 잘하고 있다’(9~10점)와 ‘잘하고 있다’(7~8점)는 응답이 각각 9.5%와 25.6%를 기록했고, ‘보통’(4~6점)과 ‘못하고 있다’(0~3점)는 응답은 각각 41.9%와 14.1%로 나타났다. 나머지 8.7%는 응답을 거절하거나 ‘모른다’고 답했다.

항목별로는 ‘중증질환 및 희귀난치성질환 치료’에서 10점 만점 중 6.4점을 받아 가장 잘 하는 것으로 평가받았고, ‘공공보건의료 전문인력 교육 및 훈련’(6.3점), ‘보건분야 학생 교육’(6.0점), ‘공공보건의료 전문인력 교육 및 훈련’(5.8점), ‘국가 보건의료 정책 개발과 협력’(5.6점), ‘취약계층 지원과 국민의 질병예방 및 재난 대응을 위한 공공의료 활동’(5.1점), ‘의료산업 선도를 통한 국부 및 일자리 창출’(5.0점) 순이었다.

응답자가 ‘국가중앙병원’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할 분야로 꼽은 항목도 ‘국가중앙병원’의 역할로서 ‘중증질환 및 희귀난치성질환 치료’(8.4점)였다. ‘질병에 대한 연구 활동 및 새로운 의료 기술 개발’과 ‘취약계층 지원과 국민의 질병예방 및 재난 대응을 위한 공공의료 활동’도 각각 8.2점과 8.1점을 얻어 중요한 항목으로 꼽혔다. 이어 ‘공공보건의료 전문인력 교육 및 훈련’(7.8점)이나 ‘국가 보건의료 정책 개발과 협력’(7.7점) 등도 뒤를 이었다.

서울대병원이 ‘공공의료’ 활동으로 강화해야 할 항목으로는 8.9점을 얻은 ‘신종 감염병, 재난, 응급 상황 시 체계적인 의료지원’ 분야가 꼽혔고, ‘위험부담이 크거나 수가가 낮아 민간병원이 기피하는 필수의료 활동’(8.6점)에 이어 ‘취약계층 의료 지원’, ‘적정ㆍ양질의 의료 제공’, ‘보건의료 정책 개발ㆍ협력’ 등이 동일하게 8.3점을 얻었다. 또 공익성 가치를 강화하기 위해 서울대병원이 개선해야 할 점으로는 취약계층에 대한 배려와 지원을 해야 한다는 응답이 7.7%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서민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춰야 한다는 응답이 7.6%로 많았다. 향후 보건의료 정책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병원의 전공의 수련 비용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는 데 74.4%가 동의했다.

윤영호 서울대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장은 “서울대병원은 정부의 전공의 인건비 지원이나 병원 입원ㆍ외래 환경 개선을 통한 공공성 증진을 모색하겠다”며 “올 상반기 중 정책토론회 개최 등 지속적인 공론화를 추진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추인영 chu.inyo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