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대비해 고교도 대학처럼 학점제 운영, 평가도 교사 자율성 강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학생의 수업권 확대를 위해 고등학교에서도 대학처럼 학점제를 운영하는 방안이 검토된다. 교사의 자율권도 확대돼 학생의 능력과 적성에 맞춰 평가방식을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게 된다.

교육부 '지능정보사회 대응 중장기 교육정책 방향' 발표
학생 맞춤형 학습지원시스템 구축의견 수렴해 내년 상반기 로드맵 마련

교육부는 22일 세종정부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한 중장기 교육정책의 방향과 전략(시안)’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인공지능(AI)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결 등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중장기 정책 방향을 지난 4월부터 연구해왔다.

우선 교육부는 학생들의 수업 선택권을 확대한다. 학생이 흥미와 적성에 따라 수업을 선택할 수 있게 학점제 도입을 추진한다. 현재 미국·핀란드 등에서는 고등학교 때부터 대학처럼 학점제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는 학생의 흥미나 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학생이 똑같은 수준의 수업을 듣고 있어 흥미와 학업 효율성이 떨어지는 게 사실이다. 학점제가 도입되면 학업 최소 성취기준에 미달한 학생은 해당 과목을 다시 수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교육감이 학교 밖에서 이뤄지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직접 개설하거나 지정할 수 있게 된다. 초·중등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는 온라인 강좌 시스템을 구축해 학교에서 개설이 어려운 교과목 수요에도 적극 대응한다.

교육과정 운영과 평가에서는 교사의 자율성이 대폭 확대된다. 교육부는 학교와 선생님들에게 교육과정 운영 및 수업의 자율권을 대폭 부여해 다양한 수업이 실시될 수 있는 여건 조성에 나선다. 중간·기말고사 등 단위학교에서 이뤄지는 평가를 최소화하고 교사 재량으로 과목별 특성과 학생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최적화된 평가방식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학생 맞춤형 교육이 가능하도록 지능형 학습 플랫폼도 개발한다. 이 플랫폼은 수행결과물·학습시간·참여횟수 등 학생의 모든 학습관련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분석해 학생의 강점과 약점·수준·흥미 등을 고려한 학습경로를 안내해주는 시스템이다. 교과성적과 각종 창의적 체험활동 등 모든 학습결과를 누적한 ‘온라인 학습포트폴리오’에서 수집된 빅데이터를 이용하게 된다.

지능정보기술 분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2018년부터 단계적으로 초·중학교 소프트웨어(SW) 교육을 필수화하고 2020년까지 중등 컴퓨터·정보 담당 교사를 600명 가량 추가로 확보한다. 대학 차원에서 인공지능·사물인터넷·클라우드·빅데이터·무선인터넷 등 5대 지능정보기술 영역의 최고수준 학과와 대학원을 선정해 10년간 집중 지원한다.

이와 함께 기술발전의 부작용에 대응하기 위해 인성·예술·체육교육을 강화한다. 또 교육 소외계층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대책도 마련해 내년 상반기 발표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이번에 발표한 시안을 바탕으로 시·도교육청, 전문가, 교사, 학부모 등의 의견을 수렴해 전략을 수정·보완하고 2017년 상반기 중에 구체적인 정책과 로드맵을 확정할 계획이다. 이영 교육부 차관은 “4차 산업혁명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중장기 비전”이라며 “미래교육 방향을 정하는 건 자라나는 아이들을 위한 우리 세대의 사명이다”고 말했다.

전민희 기자 jeon.minhe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