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5일 주식시장, '이탈리아 개헌 국민투표' 리스크 대비

중앙일보

입력

조만간 실시되는 이탈리아 국민투표에서 개헌안이 부결되면 국내 증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이탈리아는 4일 개헌안을 다루는 국민투표를 실시한다.

김용구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출구조사와 최종 투표 결과가 5일 아시아 증시에 실시간으로 반영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번 개헌은 마테오 렌치(민주당, 중도좌파) 총리가 주도한다. 상하원이 동등한 권한과 의무를 가지는 현행 양원제를 폐지하고, 입법 권한을 하원에 집중시켜 의정 절차를 간소화 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에 따라 상원 의석수가 315석에서 100석으로 줄어들고, 입법 권한도 제한된다. 대신 대통령을 비롯한 행정부의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김 연구원은 “이번 국민투표는 렌치 총리의 신임투표 성격이 짙다”며 “개헌에 총리직을 걸었기 때문에 부결될 경우 극심한 혼란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현재는 부결 여론이 약간 우세한 편이다.

개헌안에 부결되면 렌치 총리가 사임하고 세르지오 마타렐 대통령이 주도 과도정부가 구성된다. 그러나 압도적으로 부결될 경우엔 내년 초 조기총선이 치러질 가능성도 없지 않다. 탈이념 포퓰리즘을 표방하는 오성운동과 반유럽 기치를 세운 북부동맹이 득세할 경우 이탈렉시트(Italexit, 이탈리아 유럽연합 탈퇴)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분석까지 나온다.

김 연구원은 “EU 탈퇴를 위해선 추가적인 헌법 개정이 필요하고, 현재 찬성 여론이 15%에 불과하기 때문 실현 가능성은 낮다”며 “그러나 이탈리아의 혼란이 유럽 전체 정치 불확실성을 자극하고, 유로화 약세를 경유해 추가적인 달러 강세를 불러올 수 있다는 점은 국내 증시에 명백한 부정 요인”이라고 말했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렌치 총리가 자리를 비우면 경제의 안정성과 대응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일각에서 이탈리아 신용등급 하락과 몇몇 은행의 파산 가능성을 언급하고 상황이라 국제 금융시장이 더욱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장원석 기자 jang.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