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금리 급변동 시 채권시장안정펀드 재가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임종룡 금융위원장. 장진영 기자

임종룡 금융위원장. 장진영 기자

정부가 시장금리 상승으로 채권시장의 변동성이 크게 확대되면 1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를 재가동키로 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1일 정례 금융개혁기자간담회에서 “국내외 금리 추이 등 시장의 작은 변화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채권시장안정펀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자금난을 겪는 기업에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 조성됐었다. 당시 90개 금융사와 채권시장안정펀드 운영을 위한 협약을 이미 체결했기 때문에 캐피탈 콜 방식으로 최대 10조원까지 운영할 수 있다는 게 금융위 설명이다. 임 위원장은 “필요시 규모를 확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산업은행의 ‘회사채 인수지원 프로그램’은 내년 1분기에 본격 운영된다. 중견ㆍ중소기업의 중위험 회사채를 산은이 최대 5000억원 규모로 인수해줄 예정이다. 국내 회사채 시장은 대기업의 우량채권 비중이 80%에 달한다. 이 때문에 중위험채권을 발행하는 중견ㆍ중소기업은 회사채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이 쉽지 않았다. 특히 시장금리 상승으로 중소기업의 신규자금조달 비용이 증가할 수 있어서 국책은행이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서민ㆍ취약계층에 대한 지원도 강화키로 했다. 금리상승으로 가계의 이자부담이 늘어나면 서민의 금융부담이 커지고 소비여력이 제한될 수 있어서다. 임 위원장은 “정책서민금융ㆍ중금리대출 등 서민금융 공급을 늘리고 한계 차주의 연체부담을 완화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금리상승과 불경기로 서민층이 대출 연체에 빠질 가능성이 커질 수 있어서 은행권과 함께 TF를 구성해 내년 초까지 연체차주 지원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예컨대 실직ㆍ휴업으로 소득이 감소한 차주에 대해서는 대출 원금 또는 이자 상환을 유예해주는 제도를 확대하는 방안이 검토된다. 주택담보대출 연체 시 주택을 경매에 부치는 것을 일정기간 유예해주는 방안도 논의된다.

한애란 기자 aeyan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