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값 전쟁' 한인사회 '혈투'

미주중앙

입력

기사 이미지

제약사들의 후원으로 발의안 61 반대 운동을 하고 있는 측이 페이스북에 게재한 한국어 홍보광고. 발의안이 통과되도 혜택이 극소수이고 결국엔 약값 상승을 부추길 것이라는 메시지가 담겨있다.

사상 최대의 '시니어 약값 전쟁'이 그 승패를 눈앞에 두고 한글로 만들어진 홍보 광고들도 대거 등장해 눈길을 끌고 있다.

1억4000만 달러 혈투 '발의안 61'
빌보드·신문·온라인 대거 게재
주로 반대진영 '물량 공세' 영향

가주 '주민발의안 61'의 찬반 양측이 미국 역사상 최대 액수인 무려 1억4000만 달러의 홍보비를 쏟아 부으면서 그 결과에 가주 뿐만 아니라 전국적인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발의안 61은 주정부내 메디케어 수혜자들에게 제공되는 약값을 참전군인들에게 제공되는 연방 보훈청 구입 수준으로 낮추자는 것으로 제약 업계의 조직적인 반발이 제기됐고 큰 정치적 대결로 번진 상태다.

찬성 운동의 주축은 간호사협회와 에이즈보건재단으로, 다수 저소득 및 중간소득 가주민들의 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쪽은 약 1억3000만 달러의 캠페인 비용을 투입한 대형 제약업계가 사실상 리더 역할을 하고 있다.

상황이 이러다 보니 주요 신문, 웹사이트, 소셜 네트워크에는 한글로 만들어진 광고들도 자주 등장하고 있다. 주민발의안에 대해 한글로까지 광고가 만들어지고 한인사회에 광고가 이뤄지는 것은 이례적인 현상이다.

LA에 거주하는 김연택(44)씨는 "부모님이 약값 때문에 걱정이 많다는 말씀을 하시는데 한글 신문 광고와 페이스북 광고를 보게돼 신기했다"며 "투표에 꼭 의견을 반영할 생각"이라고 전했다.

캠페인 비용과 광고 물량면에서는 일단 반대측이 찬성측을 절대적으로 압도하고 있다. 샌타바버러에서 일하는 유현선(39)씨는 "진보와 보수 또는 민주와 공화당의 갈등 양상이 분명해 보이는데 한인들까지 공략에 나선 것을 보면 절박함이 느껴진다"며 "찬반을 떠나 한인들도 관심을 갖고 투표에 적극 참여해야 하지 않나 싶다"고 전했다.

한편, 한인 단체들은 이같은 분위기에 찬반 의견 대신 침묵을 택하고 있다. LA한인회, 지역 노인회 등 주요 한인 단체들은 특정한 정치적 사안에 중립을 지킨다는 이유로 입장 논의나 의견 표시를 하지 않고 있다. 한인의사협회(KAMA), 미국대학졸업한인의사협회(KAGMA) 측도 목소리를 내지 않고 있다. 민주(찬성)·공화(반대) 당파가 갈린 데다가 자칫 정치적 논쟁에 휘말릴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한 단체 관계자는 "한인 시니어들의 의견을 청취해 찬반에 대한 적극적인 입장을 밝히는 것도 한인들을 대변하는 단체들의 몫일 수 있는데 너무 소극적인 것 아닌가 싶다"며 "찬반론자들을 초대해 궁금한 것들을 묻고 확인하는 소규모 공청회라도 있으면 좋겠다"고 지적했다.

한편 11월 1일 현재 정치전문 언론 '폴리티코'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가주 유권자 51%가 찬성, 24%가 반대의견을 갖고 있으며 25%는 아직 의사 결정을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인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