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가계부채 증가액, 노무현·이명박 합친 것과 맞먹어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사진 중앙포토]

내년 말 국내 가계부채 규모가 1500조원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박근혜 정부의 가계부채 정책이 실패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31일 현대경제연구원은 '국내 가계부채 증가의 원인 및 전망(조규림 동향분석팀 선임연구원)'보고서에서 올해 말 가계부채가 약 133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말에는 가계부채는 최대 1540조원까지 불어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지난해 전년 대비 10.9% 급증한 가계 빚은 올해는 10.6%, 내년에도 9.8%의 높은 증가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내년 국내 기준금리가 한 차례 인상되고 경제성장률을 2.6%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1.4%로 산출한 수치다.

소득보다 가계부채의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소득 대비 가계부채의 비율은 올해 말에는 약 152%, 내년 말엔 약 159%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연구원은 가계부채 증가의 원인으로 저금리 정책, 주택시장 활황, 가계소득 부진 등을 지목했다. 특히 최근 부동산 경기 호황으로 주택담보대출이 증가하면서 가계부채 증가세가 커졌다.

지금 추세대로라면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 2013년부터 내년 말까지 가계부채는 5년간 496조원에 이르게 된다. 이는 노무현 정부(200조7000억원) 때의 가계부채 증가액과 이명박 정부(298조4000억원) 때의 증가액을 합친 것과 맞먹는 수준이다.

김하연 인턴기자 kim.haye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