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 40% "하루 30분도 밖에서 햇빛 안쬐요"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우리나라 초등학생 10명 중 4명은 야외 활동 시간이 하루 30분 미만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반대로 잠들기 직전까지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40%에 달해 소아청소년 성장발육과 건강관리를 위한 부모의 관심과 인식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숙면 방해하는 '잠자리 스마트폰'

대한소아내분비학회가 2016년 바른성장 캠페인의 일환으로 초등학생 1~6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바른성장을 위한 생활습관 실천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응답자의 77%가 스마트폰, TV, 컴퓨터 등 전자기기의 과도한 사용이 자녀의 수면습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약 40%는 자녀가 잠자기 직전까지 전자기기를 사용한다고 답했다.

초등학생이 주로 사용하는 전자기기는 스마트폰(86.2%), TV(83%), PC(51.6%)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5명 중 1명(20.4%)은 자녀가 일일 2시간 이상 스마트폰을 사용한다고 답했고, 특히 고학년 자녀는 3명 중 1명(30.4%) 가량이 하루 2시간 이상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녀의 수면습관에 대해 응답자의 약 3분의 1(35.2%)은 자녀가 8시간보다 적게 수면을 취하고 있다고 답했다. 주요 원인으로는 ‘전자기기 사용(77%)’, ‘늦은 귀가 등 부모의 생활 패턴(40.4%)’, ‘학업에 대한 부담 및 스트레스(25.6%)’를 꼽았다.

대한소아내분비학회 유은경 홍보이사(분당차병원 소아청소년과)는 “건강한 성장을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의 숙면이 필수적인 만큼 부모는 자녀가 잠자리에서 전자기기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며 “생활습관 전반에서 과도한 전자기기 사용과 학업 스트레스 등 자녀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 3회 운동 실천 절반도 안해

"시간 없어요" "함께 운동할 사람과 장소가 마땅치 않아요"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 10명 중 3명(31.2%)은 자녀의 1회 운동 시간이 30분 미만이거나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자녀의 일 평균 야외활동 시간이 30분 미만이라고 응답한 비율도 약 40%였다. 적절한 성장발육을 위해 권고하고 있는 주 3회 운동을 실천하는 비율은 46%로 절반도 안됐다.

자녀의 식습관에 관련해서 응답자의 약 50%가 균형적인 영양 섭취가 가장 중요하다고 답했다. 하지만 채소류, 어육류 및 콩류의 경우 권장되는 섭취 빈도 (채소류: 매 끼니 2가지 이상, 어육류 및 콩류: 매일 3~4회)만큼 섭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각각 61%, 5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방해하는 요인에 대해서는 ‘부모의 시간 부족(47%)’, ‘바른 식습관에 대한 정보 부족(43.6%)’, ‘잦은 외식(34.8%)’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대한소아내분비학회 이기형 회장(고대 안암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은 “이번 조사 결과, 부모의 생활 패턴, 학업 스트레스 등이 소아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방해할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며 “소아청소년의 건강하지 못한 생활습관은 단순히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 사회 문화적 차원의 문제로 인식되어야 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관심과 정책적 지원 등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한편, 대한소아내분비학회는 소아청소년기의 성장 발달과 건강 관리를 위한 생활 습관 개선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하루 8시간 이상 푹 자기’, ‘하루 30분 이상 운동하기’, ‘스마트폰, 컴퓨터, TV 사용 줄이기’, ‘일조량은 충분히, 하루 30분 이상 햇빛 쬐기’, ‘건강한 식단, 하루 세끼 꼭 먹기’를 바른 성장을 위한 5계명 ‘하하 스마일 건강’으로 제안했다. 더 많은 정보는 바른성장 홈페이지(www.바른성장.kr)에서 찾아볼 수 있다.

대한소아내분비학회 이기형 회장은 “이번 조사 결과, 부모의 생활 패턴, 학업 스트레스 등이 소아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방해할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며 “소아청소년의 건강하지 못한 생활습관은 단순히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 사회 문화적 차원의 문제로 인식되어야 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관심과 정책적 지원 등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인기기사]

·시한폭탄 부정맥, 치료 후 재발 막으려면 [2016/10/27] 
·구멍 하나만 뚫고...한림대강남성심병원 단일공 자궁 절제술 성공 [2016/10/26] 
·중앙대병원 신경과 안석원 교수,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 우수 연구자상 수상 [2016/10/26] 
·조선대병원 미래부로부터 5년 간 50억 연구비 수주 [2016/10/26] 
·초등학생 40% "하루 30분도 밖에서 햇빛 안쬐요" [2016/10/26] 

박정렬 기자 park.jungryul@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