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역 신설 움직임에 충북 민·관·정협의체 반대운동 나서

중앙일보

입력

20대 총선과정에서 충청권 최대 이슈였던 KTX 세종역 신설 갈등이 또다시 일고 있다.

9일 충북도에 따르면 이시종 충북지사와 김양희 충북도의회 의장, 지역정치권·시민사회단체 등으로 구성된 충북 민·관·정 협의체는 이날 오후 청주시의 한 식당에서 KTX 세종역 신설 저지를 위한 대책을 논의했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지난 8월 23일 평택~오송 선로 용량 확충을 위한 사전타당성 조사 용역에 KTX 세종역 설치가 미치는 영향을 포함한 것이 최근 국정감사에서 알려지면서 마련된 회의다. 충북은 철도시설공단의 용역을 ‘세종역 신설을 위한 사전 조사’ 개념으로 해석하고 있다.

KTX 호남선 세종역 신설은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의원(세종)의 20대 총선 공약이다. 충북 청주에 있는 오송역과 충남 공주역 사이에 위치한 세종시에 새 역사를 건설하는 내용이다. 당시 충북과 충남을 비롯해 호남선 서대전역이 있는 대전시도 반대했다. 기존 역사 이용객 감소와 역세권 상권 위축을 우려해서다.

이해찬 의원측은 “도심 관문역 부재로 KTX 이용에 불편을 겪고 있는 시민들을 위해 세종역 신설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런 상황을 감안해 국토부는 “세종역 신설은 장기적으로 검토할 사업”이라며 유보적인 입장을 취해왔다. 하지만 세종역 신설과 관련한 용역 추진 소식이 알려지면서 세종역 저지 운동이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충북 민관정협의체는 이날 회의에서 국토부와 철도시설공단을 항의 방문하기로 뜻을 모았다. 협의체는 “범도민세종역설치 반대운동 등을 전개하는 동시에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용역에 대한 철회를 요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회의에 참석한 위원들은 “세종역 신설방안이 2013년 1월 철도시설공단이 발표한 고속철도 적정 역간 거리인 57㎞에 역행한다”며 “세종시 건설 당시 오송역을 세종시의 관문역으로 한다는 충청권 합의정신에도 위배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충북도는 세종역 신설 주장이 수도권과 세종시를 오가는 정부세종청사 공무원들의 대중교통 환승 등 불편에서 비롯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오송역~세종간 택시 요금 할증제 폐지와 이에 따른 보전 방안 등 택시요금체계 개선책을 마련키로 했다. 오송역 시내버스 환승센터 설치와 하루 왕복 196회인 시내버스 운행 횟수를 221회로 증차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청주=최종권 기자 choig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