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빈 영장 기각…검찰 "난감" vs 롯데 "안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신동빈(61) 롯데그룹 회장의 구속영장이 29일 법원에서 기각되면서 검찰의 수사가 동력을 잃게 됐다.

검찰은 구속영장 재청구 여부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뚜렷한 묘수가 없어 고민 중이다.

신 회장의 변호인은 신 회장 혐의의 상당 부분이 신격호(95) 총괄회장이 경영권을 행사하던 때에 벌어졌기 때문에 신 회장에게 그 책임을 묻는 것은 옳지 않다고 주장했다.

법원이 구속영장 기각사유에 대해 “구속의 필요성을 인정 어렵다”고 밝힌 것은 변호인 측 주장이 상당히 타당하다고 판단했다는 뜻이다.

검찰은 신 회장을 롯데그룹 비리의 정점으로 지목했다. 그래서 국가경제에 대한 파급 효과를 걱정하는 외부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구속영장 청구를 결정했다.

전날인 28일 신 회장의 영장 실질심사 때 롯데그룹 수사의 주임 검사인 서울 중앙지검 특수4부의 조재빈 부장검사를 비롯해 수사검사 4명을 동원했다.

검찰이 영장 발부에 화력을 쏟아 부은 만큼 신 회장에 대한 영장 기각이 불러온 역효과도 클 수 밖에 없다. 당장 검찰의 롯데그룹 수사는 중대 기로에 놓이게 됐다.

신 회장을 구속한 뒤 비자금 조성과 정ㆍ관계 로비 의혹를 본격적으로 규명하겠다는 검찰의 복안도 틀어지게 됐다.

롯데그룹 2인자였던 이인원 정책본부장이 소환을 앞두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기 때문에 비자금ㆍ로비 수사에서 신 회장의 신병확보가 필수적은 형국이었다.

반전의 계기가 마땅치 않아 검찰은 ‘명예로운 철수’를 고려할 수도 있다. 일각에선 검찰의 ‘먼지털기식 수사’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다시 고개를 들 것이다.

반면 롯데그룹 측은 신 회장의 구속영장 기각에 대해 “최악의 상황은 피했다”며 안도의 한숨을 쉬었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신 회장이 불구속 상태에서 재판을 받게 되면 한ㆍ일 롯데 경영과 지배구조 개선에 매진할 수 있어 다행”이라고 말했다.

이철재 기자 seaja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