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북핵은 북·미 갈등 탓…방울 건 사람이 떼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기사 이미지

화춘잉 외교부 대변인

중국 외교부가 북한의 5차 핵실험에 대한 중국 책임론을 반박하면서 추가적 대북 압박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중국이 미국과 책임 공방을 하면서 북핵 문제 해결책에 대한 인식 차이를 드러냄에 따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추가 대북제재 논의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중 책임론 반박, 미국에 화살 돌려
아베, 대북 독자제재 준비 지시도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2일 정례 내외신 브리핑에서 “북핵 문제의 유래와 난관은 중국이 아니라 미국에 있다”며 “북핵 문제의 실질(實質)은 북·미 간의 갈등”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은 한반도 핵 문제의 변천 과정을 전면적으로 돌아보고 절실하고 유효한 해결 방법을 진지하게 생각해야 한다”며 “방울을 건 사람이 그 방울을 떼어 내야 한다”고 밝혔다. 북·미 간 협상에 의한 해결을 촉구한 것으로 해석되는 이 발언은 “북한이 추가 핵실험에 이르게 된 데는 중국에 중대한 책임이 있다”는 애슈턴 카터 미 국방장관의 발언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답하면서 나왔다. 통상 중국 외교부 대변인의 브리핑 답변은 사전에 문안 조율을 거쳐 나오는 것으로 중국 정부의 공식 입장으로 간주된다.

화 대변인은 또 대북 압박 일변도의 해결책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그는 “오로지 강력한 (대북) 압박만 가하는 것은 북핵 문제를 더욱 긴장되게 하는 옭매듭이 될 수 있다”며 “각국은 대국을 보고 언행을 신중하게 하며 서로를 자극하지 않기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은 북핵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서는 반드시 대화를 통해 한반도 관련 각국의 안보 우려를 균형 있게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굳건히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북한의 5차 핵실험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아베 총리는 12일 방위성에서 열린 자위대 고급간부 회의에 참석해 “북한이 불과 9개월 사이에 두 차례 핵실험을 강행했다. 결코 용인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3월 시행에 들어간 안보법과 관련해 “적극적 평화주의 깃발을 높이 들고 이제 실행할 때”라고 자위대를 독려했다. 아베 총리는 앞서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에게 대북 독자 제재를 강화하기 위한 준비도 지시했다. 스가 장관은 대북 독자 제재에 대해 “온갖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도쿄=예영준·이정헌 특파원 yyjun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