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계 고객은 바비큐·국물요리 좋아해"

미주중앙

입력

기사 이미지

한인업소들이 매출 증대를 위해 중국계 고객의 특징을 파악하는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LA한인타운의 한 식당을 찾은 중국 고객들이 중국어로 된 메뉴를 살펴보고 있다.

LA한인타운을 찾는 중국인들이 늘면서 이들의 소비패턴을 파악해 매출에 연계하려는 한인업소들이 늘고 있다. 식당과 카페들은 중국어로 표기된 메뉴를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으며 최근에는 중국계 소비자를 위한 온라인 쇼핑 사이트까지 등장했다.

감자탕·설렁탕·해장국 등
식당들 SNS 등 이용 홍보
한류 화장품·마스크팩 인기
'Made In Korea' 정품에 반해

한식당 업주들에 따르면 중국인들은 무제한 바비큐는 물론이고 국물 요리를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들은 소셜미디어나 업소평가사이트 옐프(Yelp)를 통해 소문난 감자탕, 설렁탕, 해장국, 순댓국 집 등을 자주 찾고 있다는 게 업주들의 말이다. 청해진의 스티브 한 사장은 "중국계를 상대로 따로 마케팅을 하지 않았지만 입소문을 듣고 많이 찾는다"고 전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한인 업주들도 소셜미디어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수원갈비, 박대감네, 청기와, 해장촌돌구이 등 상당수 업소들이 소셜미디어를 이용해 홍보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옐프를 넘어 중국계 신문 광고도 늘고 있다. 중국 주간지인 아시안 위클리, 월드저널 등에도 적극적으로 광고를 내 중국계 고객 몰이에 나섰다.

식당 만이 아니다. 가격보다는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 등 정품 여부에 더 민감한 중국인들의 소비패턴과 '한류'를 접목해 매출 증대에 재미를 보는 업체도 등장했다.

중국 커뮤니티를 겨냥한 온라인 쇼핑몰 '멍멍따숍'은 인삼, 홍삼, 녹차 등 성분이 함유된 한방 화장품으로 쏠쏠한 매출 증대 효과를 보고 있다. 멍멍따숍에 따르면 지난 3개월 동안 베스트셀러 1위를 유지하고 있는 제품은 한국 한방 화장품이다. 중국 시장분석사이트 '중국보고정'에서 발표한 '한국 화장품 인기순위 톱 10'에 의하면 1위는 설화수, 3위는 수려한이 차지할 정도로 중국인들의 한방 화장품에 대한 관심도를 알 수 있다.

멍멍따숍의 브랜든 이 대표는 "지난 3개월간 중국계 고객의 소비 패턴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판매된 제품은 화장품이다. 특히, 탈모 샴푸는 한 고객이 한번에 몇 통씩 구입하는 등 통 큰 고객이 많다"고 전했다.

한류 상품은 반드시 정품이어야 효과가 크다. 김스전기 및 멍멍따숍이 '100% 한국 정품 보장'을 내세우며 광고하고 있는 이유다. 멍멍따숍의 경우 정품이 아닐 경우 100% 구입가 환불과 함께 25% 스토어 크레딧을 돌려준다.

중국인 고객의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 영업에 적극 반영한 경우도 있다. 힐튼, JW매리엇 등 일부 호텔은 죽을 사(死)와 발음이 같다는 이유로 숫자 4를 싫어하는 중국인들의 성향을 고려해 '4'가 들어가는 객실을 배정하지 않는다. 일부 한인호텔들도 위계질서가 강한 중국인 고객 성향을 고려해 직장에서 출장 온 경우 상사를 위층 객실에, 하급자를 아래층 객실에 배정하기도 한다.

마케팅 회사 애드크레시안스의 강소아 대표는 "중국 소비자들의 관심사가 무엇인지, 그들의 니즈는 무엇인지 파악해야 한다"며 "그들이 생각하는 한국 이미지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중국 소비자의 코드에 맞는 '브랜드 특성'을 통해 차별적인 가치를 창출하면 비즈니스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글·사진=이성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