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현 대표, 대선 앞두고 "새누리당과 호남의 연합정치" 제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가 새누리당과 호남의 연합정치를 제안했다. 5일 열린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다.

이 대표는 이날 “호남은 진보도 과격도 급진도 아니고 특정 정당 전유물도 아니다”며 “대한민국의 또 한 번 재도약을 위해 호남과 새누리당이 얼마든지 연대정치, 연합정치를 펼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지난 총선에서 전남 순천을 지역구로 당선됐다.

그는 이날 연설에서 호남 역할론을 강조했다. 이 대표는 “호남도 주류 정치의 일원이 돼야 한다”며 “호남 출신 당 대표로서가 아니라 보수 우파를 지향하는 새누리당의 당 대표로서 호남과 화해하고 싶다”고 말했다. 호남 역할론과 맞물려 노무현 대통령 탄핵에 대해서도 사과했다. 그는 “국민이 뽑은 노무현 대통령을 탄핵했던 것을 사과드린다”며 “김대중 대통령 집권 시절 국정에 더 적극적으로 협조하지 못한 점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와 북한의 SLBM에 대해서 언급했다. 이 대표는 “사드 배치는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도발로 촉발된 사안이라는 점을 망각해선 안된다”며 “북한이 핵도발에 이어 SLBM까지 발사하고 있으나 일부 정치인들이 안보 문제를 정략적 편가르기 수단으로 이용하는 건 매우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정치권에서 불고 있는 자정 노력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그는 “국회에 ‘헌정 70년 총정리 국민위원회’를 1년 시한으로 설치해 혁명적인 국회 개혁에 나서자”며 “국민 중에서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인사들이 국회를 진단하게 하자”고 주장했다.

개헌 문제와 관련해 이 대표는 “특정 정권이나 정당, 정치인이 주도하는 정치헌법, 거래헌법, 한시 헌법은 안된다”며 “국민이 주도하고 국민의 의견이 반영된 반영구적 국민 헌법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기헌 기자 emck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