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쇠하면 기저질환 상관없이 급성신장손상 발생률 높다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분당서울대병원 내과 백선하(종합내과), 김세중(신장내과), 김광일(노인병내과) 교수팀은 노인 포괄 평가를 통해 해당 지표가 급성 신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만든 급성 신 손상을 예측 임상 모델을 통해 이같은 사실을 밝혔다.

▲ 왼쪽부터 백선하·김세중·김광일 교수

신장 기능이 갑작스럽게 상실돼 나타나는 '급성 신 손상'은 소변양의 감소, 부종 등과 더불어 심할 경우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는 질환이다. 수십 년 동안 건강 증진에 대한 노력을 꾸준히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급성 신 손상의 발생률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65세 이상 노인에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분당서울대병원에서는 입원 또는 수술을 앞둔 환자 중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신체적, 기능적, 정신적, 사회적인 면을 평가하는 ‘노인 포괄 평가’를 실시, 환자의 노쇠 상태를 파악하고 있다. 노인 환자는 동일한 연령대에도 다양한 건강 상태를 보일 수 있는데, 생리적 예비능이 감소된 상태를 노쇠라 한다. 노인 포괄 평가는 노인의 질환 발생 및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이미 그 유용성이 입증된 바 있다.

연구팀은 이러한 노인 포괄 평가가 급성 신 손상의 예측에도 유용성이 있는지 연구를 시행했다.

연구팀은 2013년 한 해 동안 급성 또는 만성 질환 합병증이나 수술로 인해 분당서울대병원에 입원한 65세 이상의 노인 중 이전에 만성 신부전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제외하고 입원기간 1년 이내에 노인 포괄 평가를 실시한 53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했다.

우선 노인 포괄 평가에서 나타난 노쇠 점수(1점-8점)에 따라 총 3개의 그룹(그룹1: 1-2점 / 그룹2: 3-4점 / 그룹3: 5-8점)을 나눠 각 그룹별로 급성 신 손상 발생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비교적 건강한 편에 속하는 그룹1에서는 급성 신 손상 발생률이 4.3%로 나타난 반면, 그룹2에서는 9.5%, 그룹3에서는 17.8%였다. 건강한 노인 환자 대비 노쇠한 환자에서 급성 신 손상 발생률이 무려 3.5배에 달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백선하 교수는 “이번 연구는 노쇠 점수를 급성 신 손상 발생 예측 임상 모델로 정립한 최초의 연구로, 추후 노인 입원 환자 진료 시 급성 신 손상 예측에 참고할 수 있는 지침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가장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백 교수는 “노인 입원 환자에서 노쇠 평가 점수가 높게 나온 경우,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급성 신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노력해야하며 추적 관찰을 통해 급성 신 손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대처하는데 힘써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우수성을 인정받아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SCI 저널 ‘PLoS One’ 최근호에 게재됐다.

[인기기사]

·"치아 언젠가 나겠지..." 방치하면 치열 망가집니다 [2016/08/10] 
·삼성서울병원, 뇌종양 내시경 수술 1000례 돌파 [2016/08/09] 
·노쇠하면 기저질환 상관없이 급성신장손상 발생률 높다 [2016/08/10] 
·임신부 산전 초음파검사 횟수 제한…의사 '불만' [2016/08/09] 
·전남지역암센터 “암 예방·극복사례 수기 모집” [2016/08/09] 

류장훈 기자 jh@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