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서울대 학부대학이 성공하려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서울대가 일부 단과대학에 학부대학(university college)을 도입하려는 계획은 바람직한 방향 설정이다. 정운찬 서울대 총장의 지적대로 지금과 같은 전공과목 중심의 학부제는 세계화.정보화 시대에 걸맞지 않기 때문이다.

서울대를 비롯해 각 대학들이 시행 중인 학부제는 해당 학과들의 격렬한 저항에 부닥쳐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교수들은 생존권이 위협받기 때문에 반대하고, 학생들은 취업이 잘 되는 인기학과에만 몰리는 바람에 사실상 실패한 것이나 다름없다.

세분된 학과를 역사학.경제학.생물학.전기공학 등 작은 단위로만 통합하려했기 때문에 해당 학과의 반발이 컸다. 이러한 중간단위의 통합이 실패함으로써 인문학.사회과학.자연과학 등 대단위 학부제로 발전이 불가능했다.

학부대학은 미국과 유럽의 대학처럼 인문.사회.자연과학을 포함하는 기초과학대학의 학사과정을 지칭하는 말이다. 그러나 서울대가 구상하는 학부대학은 1~2학년 때는 기초 중심으로 넓게 가르치고 3학년 때 학과를 선택해 기초가 튼튼한 인재를 배양한다는 것으로, 현재의 학부제와 별반 다를 바 없다.

이왕 시작하려면 외국 대학처럼 인문사회과학계열.자연과학계열.공학계열을 설치하고 한개 이상의 계열에 속하고자 하거나 특정한 계열에 속하기를 원하지 않는 학생을 위해 통합계열을 두는 방안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같은 분야를 전공하는 교수와 학생들만으로 집단을 형성하는 배타적이고 편협한 대학 풍토에서 학부대학은 학부제처럼 뿌리내리기 힘들다. 이의 성공을 위해서는 대학원 중심의 대학이 전제돼야 한다.

또 학과 단위로 경쟁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연구중심 대학으로 탈바꿈해야 한다. 과거에도 이와 같은 논의가 꾸준히 있어 왔으나 결국 대학의 학과 중심 이기주의 때문에 시행할 수 없었다.

이번 제안도 먼저 서울대가 어떤 대학을 지향할 것인지 기본틀을 세우고, 학내 동의를 얻고, 수험생들에게 충분한 준비기간을 주어야 한다. 2005년 시행이라는 시한에 매이지 말고 충분한 토론과 합의과정을 거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