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에 따라 결혼과 출산 비율 최대 3배 차이

중앙일보

입력

 
대졸 이상과 고졸 이하 학력에 따라 결혼·출산 비율이 최대 3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 인구정책TF팀과 서울대 보건대학원(조영태ㆍ원성호 교수팀)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경기도 인구정책 연구용역 중간보고서’를 4일 발표했다. 보고서는 2008년~2014년 7년 통계청 자료를 바탕으로 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 기간 도내 혼인신고는 모두 53만2206건으로 이중 대졸 이상 남성은 33만1475건으로 조사됐다. 고졸 이하 19만7804건보다 1.67배 높았다. 여성은 대졸 이상이 32만2871건으로 고졸 이하 20만5496건보다 1.57배 높게 나왔다.

결혼이 집중되는 적령기인 20대 후반과 30대 초반 남녀 모두 학력 간 격차는 더 커졌다.
30~34세 경우 대졸 결혼건수는 14만6880건으로 고졸 4만8920건 보다 3배가 높았다. 25~29세에서는 대졸 남성은 10만3692건으로 고졸 4만3989건 보다 2.36배 많았다. 여성도 30~34세 대졸이 10만468명, 고졸 4만1374명으로 2.4배 차이가 났다. 25~29세 여성은 대졸 16만5280명, 고졸 5만6495명으로 2.9배다.

같은 연령대 인구 가운데 결혼한 사람의 비율을 나타내는 혼인율(1000명당 결혼 건수)에서도 학력 간 격차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008년 25~29세 대졸 남성 혼인율은 63.3명으로 고졸 남성의 혼인율 37.5명보다 1.68배 높았다. 반면 2014년에는 각각 53명과 23명으로 2.3배 차로 벌어졌다. 25~29세 여성도 2008년 대졸 84.8명, 고졸 58.3명으로 1.45배 격차에서 2014년 73.4명과 46.1명으로 1.59배로 격차가 생겼다.

다만 30~34세에서는 2008년(대졸 56.8명, 고졸 28.4명) 2배에서 2014년(대졸 59.8명, 고졸 36.5명) 1.64배 줄었다. 여성도 같은 기간 2배에서 1.4배로 감소했다.

학력은 출산율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08년 대졸 남성은 1.23명으로 0.82명인 고졸 남성보다 1.5배 높았다. 2014년에도 대졸 남성은 1.16명, 고졸 남성은 0.67명으로 1.73배로 벌어졌다. 여성 역시 2008년 대졸 1.27명, 고졸 1.02명으로 1.25배 차이가 났지만 2014년 대졸 1.22명 고졸 0.96명으로 1.27배로 벌어졌다.

김수연 경기도 인구정책TF팀장은 “학력의 차이가 사회경제적 지위에 영향을 주는 한국사회의 특징을 고려했을 때 학력이 높을수록 혼인율과 출산율 격차가 많이 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며 “좀 더 확대하면 경제력의 차이가 혼인과 출산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증명하는 데이터”라고 말했다.

한편 사무직 남성의 출산율이 2011년 이후 큰 폭으로 떨어져 원인규명과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2008년 2.23명, 2011년 2.20명이던 것이 2012년 1.81명으로 내림세로 돌아선 이후 2014년 1.33명까지 떨어졌다.

수원=임명수 기자 lim.myou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