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특보|2년 이상 부은 보험은 종목변경 가능|탈퇴금 부금 적용 받는 종목 등 일부는 예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생명보험이 워낙 장기상품이다 보니 가입당시와 달리 사정이 바뀌어 도중에 부득이 바꿔야하거나 그만두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종전까지는 보험금액의 감액이나 보험기간 또는 계약자 및 수익자의 변경만이 허용되어 가입목적이나 수입형편 등 사정이 크게 달라진 사람들은 손해를 무릅쓰고 해약을 해야했다.
그러나 작년말 보험표준약관개정과 함께 도입된 계약전환제도는 2년이상 경과된 개인보험에 대해 다른 종목으로의 계약전환을 허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 제도를 활용하면 회사사업비를 제하지않 은채 기존의 불입보험료총액의 일정부분을 그대로 새 종목의 책임준비금으로 옮길 수 있어 손해를 어느 정도 줄이는 이점이 있다.
다만 현재 들고있는 보험이 ▲보험료 산출시에 예정탈퇴율을 계상, 탈퇴급부금을 적용받는 종목이거나 ▲감액완납된 계약 ▲생존급여금 이외의 보험금 지급사유가 발생된 계약 ▲보험료납입이 면제된 계약 ▲잔여보험기간이 2년 미만인 계약인 경우는 새로 전환을 할 수가 없으며, 또 ▲주택보험 ▲특별적립보험·투자수익보험등 단기 고수익성 보험종목 쪽으로는 역시 전환이 안된다.
현재 보험회사나 모집인 측의 이해관계가 얽혀 계약전환제도가 있음에도 제대로 실시되지 않고 있으나 가입자로서는 이를 적극 활용, 보다 유리한 폭을 택할 필요가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