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적 흐름’ vs. ‘학위 장사’ …이대 미래라이프대 쟁점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고졸 직장인이나 30세 이상 경력단절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평생교육 단과대학(미래라이프대학) 설립문제로 이화여대가 진통을 겪고 있다.

지난 30일 오후 경찰이 사흘째 본관 점거 농성중이던 학생들을 밖으로 끌어냈고 46시간 정도 갇혀있던 교수와 교직원 5명이 풀려났다. 경찰과 학생들간 몸싸움으로 찰과상 등 부상을 입은 학생들도 있었다.

하지만 이대 학생들의 본관 점거 시위는 31일에도 계속됐다. '찜통 더위' 속에서 에어컨도 없는 복도에 앉아 있다가 한 학생이 탈진 증세를 보여 119 구급대원이 출동하기도 했다.

학교와 학생들의 입장이 좀처럼 좁히지 않는 이유는 뭘까. 교무처장이 밝힌 학교측 설명과 이대총학생회 등 미래라이프대학 설립에 반대하는 학생들의 입장을 쟁점별로 정리했다.

 ‘시대적 흐름’ vs. ‘학위 장사’
학교 측 “사회 변화에 따른 평생교육의 중요성 인식, 1971년부터 시작한 본교의 평생교육 역량, 세계 최고 여자대학으로서의 여성고등교육에 대한 책무 등 고려해 미래라이프대학 신설을 결정. 이미 많은 대학에서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29조제2항에 따라 입학정원의 5.5% 이내에서 정원 외 특별정원으로 선발하고 있는 제도를 미래라이프대학 신설로 체계화한 것”

학생 측 “특성화고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기회균등전형 - 특성화고교전형이 이미 있고 평생교육단과대학 역시 존재. 입학처장, 교무처장 등과의 면담결과 해당 사업에 지원한 가장 큰 목적은 학교의 재정적 어려움 탈피, 즉 정부의 사업비 지원(30억)은 물론 학비를 통한 ‘학위 장사’ 노린 것. 뷰티, 웰니스 같은 산업을 학문으로 인정하고 4년제 학위를 주는 건 학벌주의 조장”

‘적법 절차’ vs ‘비민주적 추진’
학교 측 “본교의 장기발전 계획 중 하나인 평생교육 확대 계획을 교육부 지원 사업을 활용해 구체화하고 체계화하는 것이며 처장회의, 대학장회의, 대학평의원회, 교무회의, 법인 이사회 등의 합법적인 절차를 거쳐 진행”

학생 측 “학생들의 의견은 전혀 반영되지 않은채 비민주적이고 졸속으로 사업 추진. 5월 17일 처장단 회의를 시작으로 불과 한 달도 지나지 않은 6월 10일 사업계획서를 제출했고, 학생들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회의는 대학평의원회뿐. 실질적 소통 전무”


▶관련기사 이화여대 3일 농성···"학생이 주인?" 교수 발언도 논란


‘불법 점거’ vs. ‘과잉 진압’
학교 측 “총학생회와 시위 참여 학생들이 외부 경호업체 직원들을 고용해 교내에 무단으로 진입시켰고, 대학평의원회 위원들을 감금. 총동창회장 포함 일부 의원들이 심각한 건강악화로 응급 후송될 때 학생들이 조롱과 비하로 일관”

학생 측 “28일 대학평의원회 회의에서도 미래라이프 단과대학 설립 계획 폐기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아 본관을 점거하고 평화시위를 시작한 것. 30일 오후 12시 총장님이 직접 오겠다고 한 후 총장이 아닌 1600명의 경찰 병력이 과잉 진압”

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