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국 보유계약 제도 참고해 한국 보험 산업 저금리 리스크 줄여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저금리 장기화로 보험사의 수익성 하락과 건전성 악화가 예상됨에 따라 보험산업의 저금리 대응 노력이 필요하다.”

보험연구원은 15일 ‘주요국의 저금리 대응 및 2016년 하반기 보험정책방향’을 주제로 제41회 보험CEO 및 경영인 조찬회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다.

조재린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일본·대만·독일 등 해외 주요국의 보험사가 저금리로 인한 금리 역마진으로 어려움에 봉착하고 있다”며 “과거 고금리 상품 판매로 부채부담 이율이 높은 상태에서 다른 국가보다 금리하락 속도가 빨라 투자수익률이 급격히 하락해 금리 역마진이 일어났다”고 분석했다.

조 연구위원은 “주요국은 보험사가 금리 역마진에 대비해 준비금을 추가로 적립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했다”며 “다가격 자유화, 해외투자규제 완화 등 준비금 적립 재원 확보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실시했고, 보유계약 관련 제도를 개선해 보험사가 상품포트폴리오 변화를 통해 저금리에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에서도 주요국의 계약이전, 계약전환, 계약조건 변경제도 등을 참고해 보유계약에서 저금리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제도적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며 “다만 소비자 보호와 사회적 합의 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병철 기자 bonge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