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톡톡! 글로컬] 전주·완주 통합, 주민 편의가 먼저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1면

기사 이미지

김준희
사회부문 기자

폐기 직전까지 갔던 ‘전주·완주 상생 조례안’이 당분간 명맥을 이어가게 됐다. 전주시의회가 지난 24일 ‘전주시 장사(葬事) 등에 관한 조례 일부 개정안’ 등을 만장일치로 보류해서다. 시의회는 “두 지역의 상생을 위한 조례를 고치려면 보다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지만 ‘민심에 밀렸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조례 개정 움직임을 놓고 “전주·완주 통합 무산에 대한 보복전이 벌어지고 있다”는 여론이 들끓었기 때문이다.

전주시의회는 통합 분위기 조성을 위해 2013년 5월 상생 조례안을 만들었다. 완주군민에게도 전주의 승화원(화장장) 이용료를 전주시민처럼 감면해주는 게 골자였다. 앞서 1997년과 2009년 두 차례의 통합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한 카드였지만 결국 세 번째 시도도 무산됐다. 당시 완주군민들의 투표 결과 ‘통합 반대’(55%)가 ‘찬성’(44%)을 또다시 앞질렀다.

전주·완주는 1935년 일제에 의해 전주부와 완주군으로 강제 분리되기 전까지 한 고을이었다. 1997년 이후 20여 년간 단일화를 시도해온 배경이다.

하지만 최근 전주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가 완주군민에 대한 혜택을 삭제한 개정안을 가결하면서 논란에 휩싸였다. 완주군의회는 전주시민이 많이 이용하는 모악산 주차장의 유료화 검토 등으로 맞불을 놨다. 조례안 개정에 대한 보류 방침에도 불구하고 갈등의 불씨가 여전한 이유다.

두 지역의 상생 조항을 없앤 개정안이 본회의에 그대로 남아 있는 것도 문제다. 개정안을 대표 발의한 이명연 전주시의원은 “통합이 무산된 만큼 상생 조례들도 정리하는 게 맞다”고 강조한다. 공교롭게도 이 의원은 2013년에는 전주시의회 의장으로 전주·완주 통합에 앞장섰다.

당시 이 의원은 세 번째 통합이 무산되자 김완주 전북지사에게 공개 서한을 보냈다. 여기에 적힌 전주·완주 통합의 필요성은 여전히 유효해 보인다. “전북혁신도시는 두 개의 행정구역으로 나뉘어 행정·민원·교육·치안·교통·생활 서비스가 다르다. 이곳에 입주한 공공기관과 주민들이 불편을 겪는 이유다.”

김준희 사회부문 기자 kim.junhe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