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중 노조, 올해 임금 및 단체협상 회사에 전적으로 위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진중공업 노조(위원장 김외욱)가 올해 임금 및 단체협상을 모두 회사에 위임했다.

김 위원장은 “경기 악화와 조선업 불황으로 인한 경영위기를 노사가 합심해 극복하자는 의미에서 올해 임단협을 회사에 전부 위임한다”고 14일 밝혔다. 노조의 이러한 결단은 1937년 한진중공업 설립 이후 80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이로써 회사 측은 별도의 협상 없이 올해 임단협을 타결할 수 있게 됐다.

한진중공업에는 2개의 노조가 있다. 민주노총 산하 금속노조 한진중공업 지회와 기업별 노조인 한진중공업 노조이다. 두 개 노조에는 생산직 근로자 657명이 가입해 있다. 이 가운데 노조원 72%(472명)를 차지하는 한진중공업 노조가 대표 노조이다.

복수노조가 허용된 2012년 출범한 한진중공업 노조의 김 위원장은 2014년 1월 2대 위원장이 된 이후 올해까지 두 차례 위원장을 연임하고 있다. 이 노조 출범 이후 노사는 지난 5년간 연속 무파업을 기록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취임 이후 2013년 한진중공업 재도약을 위한 시민토론회를 열고, 지난해 조선업종 노조연대 공동파업에 불참하는 등 회사 경영 정상화에 협조해 왔다.

조선업종 공동파업 당시 김 위원장은 “조합원 고용안정이 최우선이며, 최근의 조선업종 불황은 세계적 문제로 파업으로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고 불참 이유를 밝힌바 있다. 김 위원장은 또 사내 소식지에서 “전쟁에 가까운 수주전에서 유리한 입지를 선점하려면 노조와 회사가 하나가 돼야 한다”며 고용안정을 위한 노사화합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 회사는 지난해 고용노동부로부터 노사갈등을 극복하고 협력적 관계를 유지해온 점을 인정받아 노사문화 우수기업에 선정됐다.

한진중공업은 2008년 세계적 경기불황에 따라 2010년부터 정리해고를 해왔으나 금속노조 한진중공업 지회가 파업과 타워크레인 농성을 하자 회사는 이에 맞서 휴업을 하는 등 극심한 노사갈등을 빚은 바 있다. 이를 계기로 노조원들이 금속노조 한진중공업지회를 탈퇴하고 새 노조로 옮기면서 한진중공업노조는 창립 1주일 만에 과반 조합원을 확보했다.

부산=황선윤 기자suyohw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