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데이터 뉴스] 직장인 체감 퇴직 나이는…대기업 48.8세, 중기 50.8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6면

기사 이미지

자료: 잡코리아

대기업 직장인이 체감하는 퇴직 나이는 48.8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남녀 직장인 1405명을 조사한 결과다. 중소기업(50.8세)과 공기업(54.8세)에 비해 대기업 재직자가 느끼는 퇴직 시기가 빨랐다. 전체 평균은 50.9세로 지난해 조사 때보다 1.2세 낮아졌다. 남성 직장인이 예상하는 퇴직 연령이 51.7세인 반면 여성은 평균 49.9세로 나타나 성별 간 차이가 있었다.

기사 이미지

자료: 잡코리아

직급 별로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유독 대리급(49.3세)이 다른 직급에 비해 퇴직 시기가 빠를 것이라 예상했다. 부장(51.4세)·임원(51.3세)에 비해 과장(50.2세)·차장(50.1세)과 같은 실무자급이 전망하는 퇴직 나이가 더 젊었다.

기사 이미지

자료: 잡코리아

담당 직무 별로는 정보기술(IT)·정보통신직과 디자인직의 평균 퇴직 예상 시기가 47세로 가장 일렀다. 서비스직(53.1세)과 생산·기술직(52.8세) 종사자는 다른 직무에 비해 본인의 퇴직 연령을 더 높게 예상했다.

잡코리아 남녀 1405명 설문
지난해 보다 평균 1.2세 낮아져
“정년보장되면 이직 생각” 73%

퇴직 때까지 고용 안정성을 보장받을 것이라 기대하는 비율은 18.6%에 그쳤다. 10명 중 8명은 자신이 예상한 퇴직 연령 전에 회사를 그만둘 수도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73%는 고용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정년이 보장되는 공무원 등으로 직업 전환을 생각해 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허정연 기자 jypowe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