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농촌봉사 가는곳 마다 "사절"|"농번기 지나 도움 필요없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대학생들의 농촌활동(농활)이 곳곳에서 지역주민들로부터 거부당하는 사태가 크게 확산되고 있다.
3일 내무부에 따르면 전남 곡성 등 전국 60개 지역에서 서울대 등 60개팀 1천3백53명이 주민들의 거부로 해당지역을 떠나거나 노숙하면서 마을청소 등으로 시간을 보내고 해당대학으로부터 교수가 급파돼 귀가를 종용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서울대에서는 1백24명의 학생이 지난 6월29일 충남 청양군에서 지역주민들로부터 활동을 거부당한데 이어 공주·충북중원·전북진안 등에서 모두 9개팀 3백4명이 주민들의 거부를 받아 대상지역을 옮겼으며 3일 현재 서울대·연대·중앙대 등 3개 대학 51개팀 1천49명이 전남곡성 등에서 주민들의 거부로 활동을 벌이지 못하고 있다.
이들 학생들은 1, 2일 각각 전남곡성·무안·함평·구례·나주군 등 5개군에 도착, 봉사활동을 벌이려 했으나 주민들은『농번기를 지나 도움받을 일이 별로 없고 많은 학생들이 기거할 장소도 마땅치 않다』며 활동을 거절했다.
이들은 서울대가 36개팀 8백26명으로 가장 많고 중앙대 13개팀 1백72명, 연대 1개팀 16명과 서울공덕교회 대학생봉사대 35명 등이다.
지역주민들로부터 접촉을 거부당한 이들 학생들은 마을회관·빈집·제각(제각) 등에서 야영을 하며 일방적으로 마을청소·잡초뽑기 등 활동을 벌이고 있으며 현지경찰의 통보를 받은 서울대는 3명의 교수를 2일 현지에 파견, 귀가를 종용하고 있다.
3일 현재 내무부가 파악한 농촌활동 대학생은 8개도에 2백20개팀 5천3백명으로 그 가운데 98개팀 1천9백96명이 학교의 승인을 받지 않아 주민들의 반발을 사거나 마찰을 빚을 소지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교부는 특히 학생회발족이후 운동권학생중심의 방학중 농촌활동이 학생들의「의식화」 활동의 계기로 이용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 의료·기술봉사 외 일체의 농촌활동을 금지토록 각 대학에 지시했었다. 이에따라 전국 1백45개 대학(전문대 62개 포함)이 5백34개 지역에서 모두 2만3천여명이 참가, 봉사활동을 벌이기로 하고 이를 문교부에 신고했었다.
이들과는 달리 근로봉사를 표방하는 이른바「농활(농활)」은 학교측의 승인을 받지 못한 채 학생들이 자의로 활동에 나서고 있는데 이들은 지난 6월초 1∼3차례씩의 현지답사와 활동계획. 자체수련회 등을 가졌었다.
이들은 당초 전학련주관으로 통일된 활동을 벌이려했으나 실행상의 난점 등으로 평가 보고회만 공동으로 갖기로 했다. 이들「농활」팀은 ▲현장에서 농민과 상호의식화 활동을 벌이고 ▲농민단체와의 연계를 강화하는 한편 ▲끝난 뒤 보고평가회를 통해 농촌문제에 대한 인식을 보편화하고 ▲학외활동으로 농촌문제를 사회문제화 하겠다는 계획을 갖고있다.(한국 기독학생 총연맹「농촌활동안내서」)
이같은 학생들의 움직임에 따라 내무부는 전국의 이·동 조직을, 그리고 문교부는 국민학교 분교를 포함한 전국 각 학교에 모든 대학생 농촌활동팀을 보고토록 지시, 미 신고팀은 행정조직과 해당학교를 통해 귀가를 종용하고있다.

<서울대 67명 귀가>
한편 충남 청양군 운곡면에서 지난달 30일 주민들로부터 활동을 거부당한 서울대 인문대종교학과 등 학생47명이 2일 전원 귀가했다. 서울대는 거부사태가 벌어지자 정진홍교수(종교학과) 등 2명의 교수를 현지에 파견했었다.
또 청양군 화성면의 고고학과 학생 20명도 2일 하오10시쯤 기차편으로 귀가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