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사고와 안전벨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교통부국이 자동차의 안전벨트 착용을 의무화한것은 자동차 시대에 필수적인 시책으로 실천되어야할 일이다.·
자동차 보유대수가 이미 1백만대를 넘어서 있고, 특히 주말이면 각종 교통사고로 얼룩지는 우리의 현실을 생각해 볼때 오히려 만시지탄이다.
치안본부는 오는 10월1일부터 고속도로를 통행하는 승용차와 버스운전자에 대한 안전벨트 착용을 의무화하고 이를 위반할 경우 7천원의 범칙금을 물도록했다. 치안본부는 또 이에 앞서 7월1일부터 3개월간 계몽기간을 두어 안전벨트의 필요성을 널리 알리면서 이를 위반한 차량에 경고스티커를 부착할 방침이다.
안전벨트의 필요성은 각종 수치로 입증된다. 우선 안전벨트를 착용치 않을 경우의 교통사고 사망율이 착용시의 그것에 비해 무려 3∼4배가 높다는 통계부터 우리를 놀라게 한다. 따라서 자동차마다 부착되어있는 안전벨트를 활용함으로써 사망자의 60∼70%와 중상자의 50%까지 감소시킬수 있다는 얘기다. 자동차가 급하게 정지하거나 장애물과 부딪칠 경우에 대비, 차내충격을 극소화시키기 위해 설계된 안전벨트의 사고 억제력은 이렇듯 엄청나다.
따라서 안전벨트의 착용 의무화는 이미 세계화 추세로 번져 영국에서부터 아프리카의 아이보리코스트에 이르기까지 3O여 개국에 달한다. 더우기 미국에선 안전벨트를 매지 않을 경우 아예 시동조차 겉리지 않는 자동차가 시판 중인가하면 뉴욕주의 경우 안전벨트 하나로 연간3백명의 사망자와 7만명의 부상자, 그리고 2억5천만달러의 사회비용(Social Cost) 을 줄인다는 통계다.
교통사고를 감소시켜야 한다는것은 그 피해가 당사자에 그치지 않고 전체사회로 확산된다는 점에서 극히 자명한 전제다. 자칫의 실수가 빚어내는 사고가 연간 7천 여건에 이르며 그로·인한 사회비용이 자그마치 5천억원에 이르고있어 교통안전을 위한 노력은 아무리 강화된다해도 부족을 느낄뿐이다.
따라서 무리는 「안전벨트 의무착용」을 앞두고 교통사고의 억제를 위해 몇 가지 당부를 남기고자한다.
우선 말로만 앞세울 일이 아니라 강력히 추진하라는것이 첫번째 당부다. 불과 몇 년전 「벨트착용」 운운하다가 결과적으로 업자들만 돈벌이 시켜준 과거가 있음을 생각하는 까닭이다.
두번째로는 그 적용범위를 고속도로에만 국한시킬것이 아니라 전도노망으로 넓히라는 얘기다. 교통 사고가 어찌 고속도로에서만 빚어지는가 도심의 사고와 지방도로의 사고는 방치해도 좋다는 뜻은 아닐 것이다.
또 모든 승객이 안전벨트를 매도록 법규를 강화하는것도 바탕직한 일이다.
세 번째, 승용차인 경우 10세이하의 아동은 뒷좌석에 앉도록 의무화해야 한다. 아동 대부분이 주의력이 산만한데다가 체격마저 작아 성인을 위해 설계된 앞좌석보다 뒷좌석이 안전하리라는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