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차 공약 신중해야" 광주시장 소속 정당에 선긋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윤장현 광주광역시장이 "삼성 미래차를 광주에 유치하겠다"고 밝힌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의 발언에 대해 우려의 입장을 밝혔다.

윤 시장은 7일 간부회의에서 더민주의 '삼성 미래차산업 광주 유치' 공약에 대해 "정치권의 진정성을 충분히 이해하지만 역작용이 나지 않도록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시장은 "이 문제가 정치적 쟁점으로 떠올라 첨예한 논쟁으로 확산되고 있다"며 "삼성이 이를 부인하고 난감한 입장을 표시하는 등 해당 기업에게 큰 부담을 안겨주고 있어 안타깝고 걱정스러운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윤 시장은 또 "해당 문제는 광주발전과 시민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도록 조심스럽게 풀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삼성의 광주행 추진은 환영할 일이지만 정치 쟁점화로 되레 역풍을 맞을 우려가 있는 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정가 안팎에선 윤 시장의 발언이 소속 정당의 핵심 공약에 대해 지자체장이 편치 않은 속내를 내비친 것이어서 향후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하고 있다. 윤 시장은 현재 더민주 소속이지만 2014년 6·4지방선거 때 당시 안철수 공동대표의 전략공천을 토대로 시장에 당선됐다.

삼성의 광주 투자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선을 그었다. 윤 시장은 "지난 1월 삼성 가전라인의 해외 이전과 관련해 삼성 사장단이 내방했을 때 프리미엄 가전 투자 확대와 자동차 전장부품 투자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삼성차 전장산업 유치는 이미 광주시가 건의한 것이어서 더민주의 공약이 새로울 게 없다"는 해석도 가능한 대목이다.

이어 윤 시장은 "광주는 민생경제난과 제조업 경쟁력이 약화되는 악조건 속에서 새 블루오션으로 친환경 전기차를 주력사업으로 추진 중이고, 중국 구룡자동차와 인도 마힌드라 그룹이 투자의향을 밝힌 상태"라고 밝혔다. 또 "정치논리보다 더 중요한 게 미래 먹거리, 즉 민생이며 이는 기업하기·일하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 게 최우선"이라고 말했다.

윤 시장이 이날 언급한 공약은 광주 서구을에 출마한 더민주 양향자 후보가 지난달 29일 발표한 '광주를 미래자동차 전진기지로 만들기 위한 공약'에서 비롯됐다. 이 공약에는 삼성의 전장사업 핵심 사업부를 광주에 유치함으로써 향후 5년간 삼성전자 전장사업 분야에서 3조원의 투자를 이끌어내고 2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관련기사
① 김종인 "광주에 미래차"···삼성은 "검토한 적 없다"
② [디지털 오피니언] "우리가 광주에 간다고?" 어리둥절한 삼성



더민주는 전날 기자회견을 갖고 이를 중앙당 공약으로 승격한다고 발표했지만, 삼성 측은 "검토한 바가 없다"고 밝혔다.

광주광역시=최경호 기자 ckha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