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북한 인권단체들, 외국 지원 의존하는 현실 문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기사 이미지

요안나 호사냑(42·사진) 북한인권시민연합 부국장은 폴란드 태생의 북한 인권 활동가다. 벽안(碧眼)의 그는 2004년 한국 생활을 시작했다.

폴란드 출신 북한인권운동가 호사냑
유엔 북한 인권조사위 창설 기여

호사냑은 지난 15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인권이사회에 참석해 북한 인권·이산가족 문제와 관련한 세션의 사회를 맡았다. 이 자리에서 그는 “정치 상황과 무관하게 북한의 인권 상황에 대해 지속적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호소했다. 마르주키 다루스만 유엔 북한 인권 특별보고관도 이 세션에 참석했다.

앞서 2012년엔 수용소 출신의 탈북자들과 함께 제네바의 유엔 유럽본부를 방문해 나비 필레이 당시 유엔 인권최고대표를 면담했다. 그는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을 환기시킨 결정적 계기였다”고 평가한다. 약 1년 뒤 유엔은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를 창설해 북한 인권 문제를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호사냑도 COI 창설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해 폴란드 정부로부터 훈장을 받았다.

그는 인권 문제 책임자들에 대한 분명한 처벌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나치 정권이 자행한 홀로코스트(유대인 대학살)의 가담자들을 제대로 청산하지 못한 모국 폴란드가 반면교사가 됐다.

호사냑 부국장은 “관련법 제정 등 미리 준비해야 할 것이 많은 문제”라고 말했다. 지난달엔 서강대 국제대학원에서 관련 문제를 연구해 박사 학위도 받았다. 동구권의 독재 정권 붕괴 후 과거 인권 탄압에 가담한 인사들의 처리 과정을 비교·분석했다.

그는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한국 사회의 낮은 관심을 아쉬운 점으로 꼽는다. “헌법상 한국의 영토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해 한국 정부도 책임감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호사냑은 또 한국의 북한 인권 단체들이 대부분의 활동비를 외국에서 지원받는 현실 도 “창피한 일”이라고 비판했다.

1993년 폴란드 바르샤바 대학에 입학해 한국어문학을 전공한 그는 99년부터 4년간 주폴란드 한국대사관서 근무했을 정도로 한국말이 유창하다. “이젠 한국이 내 집”이라는 호사냑은 “계속 한국에 남아 북한 인권 문제의 진실을 찾겠다”고 말했다.

서재준 기자 suh.jaejo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