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따복공동체 공모사업에 598개 주민공동체 신청해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경기도가 따복공동체 확산을 위해 도내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따복공동체 주민제안 공모사업을 접수한 결과, 주민공동체 대상 3개 분야 사업에 598건, 1만 5백여 명이 신청했다고 28일 밝혔다. 전년 대비 2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지난해에는 315건 5800여명이 신청했다.

경기도 따복공동체 공모사업 598건 신청 참여인원수 1만500여명
공동체프로그램운영비, 공간시설리모델링비 신청 많아

28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2월 25일부터 3월 25일까지 한 달 동안 주민공동체 대상으로 공간조성사업 ▶공간활동사업 ▶공동체활동사업 등 3개 유형의 공모사업을 진행했다.

도는 올해 총 15억 5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3개 유형에 170개 주민공동체를 선정해 활동 사업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3개 유형 중 공간조성사업은 40개 공동체에 7억원, 공간활동사업은 80개 공동체에 6억원, 공동체활동사업은 50개 공동체에 2억 5000만원을 각각 지원할 계획이다.

도는 경기남부권, 경기북부권, 경기서부권 등 3개 권역으로 나눠 4월 중 각 주민참여심사를 해 170개 이상 대상공동체를 선정 지원할 계획이다.

주민참여심사는 사업을 제안한 주민대표자가 한자리에 모여서 그룹별로 각자의 사업계획을 발표 공유하고 상호 심사하는 형태로 최종 선정된 주민공동체는 5월 중 경기도홈페이지에 게시된다.

한편, 접수된 사업내용을 살펴보면, 주민공동체는 주민들이 자체 확보한 커뮤니티 공간에 육아카페, 재능기부를 통한 평생학습 등 주민활동 프로그램을 제안했다. 또 마을역사탐방, 골목길 꽃길조성, 주민화합 작은음악회, 지역 우수인재를 활용한 소외계층 초등학생 학습지도, 다문화가정아이 한글교육 등 다양한 봉사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비 지원을 신청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 아파트단지 관리동이나 마을회관 등 기존 유휴 공간을 활용해 공동육아나 북카페 등을 할 수 있도록 공간시설 리모델링비를 신청하기도 했다.

류인권 경기도 따복공동체지원단장은 “이번 공모사업은 작년에 이어 올해 2회째로 교육·문화·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이 접수됐다”라며 “주민참여심사를 통해 경쟁이 아닌 상생의 심사, 상호학습의 심사가 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는 지난해 첫 번째 따복공동체 주민제안 공모사업을 추진해 지원을 요청한 315개 주민공동체 가운데 178개 주민공동체에 9억원을 지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