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마길 막힌 이재만 “온몸에 경련, 정말 분하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기사 이미지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25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뒤 지하 계단을 이용해 나와 자신의 차량에 오르고 있다(왼쪽 사진). 같은 날 오후 최고위에서 무공천 결정으로 출마가 무산된 이재만(대구 동을) 예비후보가 여의도 당사 대표실의 문고리를 잡은 채 항의하고 있다. [사진 김현동 기자]

고래 싸움에 새우등이 터졌다.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 결정으로 총선 출마길이 막힌 이재만(대구 동을)·유재길(서울 은평을)·유영하(서울 송파을), 세 후보 얘기다. 당 공천관리위원회의 결정으로 공천을 받았지만 김무성 대표의 문제 제기로 25일 오후 최고위에서 의결되지 못해 졸지에 무공천된 세 후보는 억울함을 호소했다. 후보 등록 기간(24~25일)에는 탈당이나 당적 변경이 불가하다는 법 규정에 따라 이들은 무소속 후보로도 출마하지 못한다.

무공천 결정 날벼락 맞은 3인
유재길 “민형사상 대응할 것”

이재만 후보는 최고위 직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들에게 “김 대표가 이런 식으로 할 거라곤 상상도 못했다. 온몸에 경련이 일어나고 정말 분하다”고 하소연했다. 이 후보의 대구 선거사무소에선 “차라리 야당 후보를 도와주자”며 격앙된 반응을 보이는 직원들도 있었다.

기사 이미지

유재길 후보도 “총선에 출마할 별다른 방법이 없으니 법률적 검토를 마치는 대로 민형사상 대응을 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유재길 후보는 전날(24일) 김 대표의 기자회견 문구를 문제 삼았다. “당을 억울하게 떠난 동지들이 남긴 ‘정의가 아니고 민주주의가 아니다. 불공정하기 짝이 없는 밀실공천에 불복하겠다’는 말씀이 비수로 꽂힌다”고 한 대목이다. 그는 “김 대표에게 ‘그렇다면 정치 신인의 참정권을 가로막는 것은 정의냐’는 문자메시지를 보냈다”고 말했다.

세 후보 중 유영하 후보는 승복 의사를 밝혔다. 그는 최고위 직후 기자들과 지지자들에게 보낸 휴대전화 문자메시지에서 “당의 결정에 개인적 소회가 없을 순 없지만 당에서 내린 결정을 겸허히 받아들이겠다”며 “애초부터 개인적인 욕심을 가지고 정치를 시작한 것이 아니다”고 밝혔다.

세 후보와 달리 공천관리위원회 결정에 불복해 탈당, 무소속 출마를 선언한 김영순(서울 송파을) 전 송파구청장, 이재오(서울 은평을) 의원 등은 어부지리를 얻은 셈이 됐다. 새누리당 후보에 맞서 힘겨운 일전을 치를 수도 있었지만 그럴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김 전 구청장은 “새누리당에 잘못된 일을 바로잡으려는 세력이 있다는 게 확인됐다. ”고 말했다. 이 의원은 “당연히 그렇게 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했다.

글=이가영 기자 ideal@joongang.co.kr
사진=김현동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