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단임 김병원의 농협 출범 “중앙회 조직부터 손보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기사 이미지

“농협은 창립 이래 최대의 위기 상황에 놓여 있다.” 14일 취임한 김병원(63·사진) 제23대 농협중앙회장의 일성은 ‘개혁’이었다.

230만 공룡조직 “개혁” 선언
“농가소득 5000만원 시대 열 것”

이날 서울 서소문로 농협중앙회 본관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그는 “수입 농축산물과의 가격 경쟁 심화, 저금리 기조로 인한 상호금융 환경 악화 등 농·축협의 경영이 위협받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금융·경제지주 분리 이후 중앙회의 재무 상황은 급격히 악화 중이다. 중앙회 주변에선 ‘농협이 제 역할을 못한다’ ‘임직원을 위한 농협’이란 따가운 지적도 나온다. 김 회장은 이런 농협의 위기를 개혁으로 정면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첫 4년 단임제 회장인 그는 “임기 4년을 8년처럼 일하겠다”고 했다. 230만 조합원을 가진 ‘공룡’ 농협을 수술대에 올리는 게 우선 과제다. 그는 “중앙회 조직을 슬림화된 조직으로 개편하고 차입금 문제 등 중앙회 재무구조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대책을 시급히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또 “농·축협 컨설팅 감사로 조직과 인력을 개편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공약 사항이었던 농협경제지주 폐지와 회장 선거 직선제 전환 등 조직의 뿌리에 손을 대는 개혁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김 회장은 “임기 내 농가소득 5000만원 시대가 도래하도록 전력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4년간 농가소득을 40% 넘게 끌어올리겠다는 야심 찬 계획이다. 2014년 농가소득은 평균 3495만원이었다. 2010년(3212만원)과 비교해 280만원 늘었다. 230만 명인 조합원 수가 2030년이면 반 토막 난다는 연구 결과가 있을 만큼 고령화도 도전이다. 김 회장은 타개 방안으로 ▶창조경제 농업지원센터 설립 ▶스마트팜 육성 ▶농업의 6차 산업화 지원 ▶도농 협동 국민운동 등을 제시했다.

급속한 고령화에 따라 농촌 인구가 줄고 있지만 ‘반퇴 세대’의 귀농·귀촌이 본격화하고 있는 건 농협으로선 기회다. 시민단체인 농협바로세우기연대회의의 최양부 상임대표는 “농협은 현재 정체성·신뢰성·경영의 3대 위기를 겪고 있다”며 “연임을 생각해 인기 영합주의를 펼쳐야 할 부담이 없는 첫 4년 단임제 농협 회장으로서 말로만이 아닌 행동으로 과감한 조직 개혁에 나서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 회장은 전남 나주 출생으로 52년 만에 탄생한 첫 호남 출신 농협 회장이다. 1978년 농협에 입사해 남평농협(나주) 조합장, NH무역 대표, 농협양곡 대표를 지냈다.

세종=조현숙 기자, 김유빈 기자 newea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