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 "맛있게 드시지 말입니다" 없어진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김 상병님이 맛있게 드시지 말입니다"

앞으로 군대에서 이런 표현을 듣기 어렵게 됐다. 국방부가 병영 언어문화를 개선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국방부 당국자는 24일 "지금까지 군대에서는 '다' '나' '까'로 끝나는 말을 사용해 왔다"며 "그렇다보니 웃지못할 어색한 표현들이 난무했지만 이를 고치기로 했다"고 말했다.

'다''나''까' 말투는 군기를 세우기 위해 하급자가 상급자에게 정중한 높임말을 사용하도록 한 데서 생겨났다. 군의 독특한 문화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했다. 하지만 국방부가 이를 시정하기로 한 것이다.

이 당국자는 "기계적인 다·나·까 말투는 원활한 의사소통을 저해하고 어법에 맞지 않는 언어 사용을 초래한다는 지적이 있었다"며 "국가인권위에서 언어생활 때문에 선임들의 서열을 꿰고 있어야 하는게 가혹행위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있었고, 이를 국방부가 수용하기로 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방부는 또 아랫사람이 윗사람과 제3자에 대해 말할 때 제3자가 윗사람보다 낮은 사람일 경우 윗사람 기준에 맞춰 그를 낮추 부르는 압존법 사용을 자제토록 했다.

예를 들어 군에서 김 일병이 이 병장과 박 상병에 대해 얘기를 나눌때 "박 상병님 휴가가셨습니다"가 아니라 "박 상병이 휴가 갔습니다"라고 해야 했다. 그러다보니 일일이 서열을 꿰고 있어야 했고, 이 과정에서 가혹행위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따라서 앞으로는 병사들간에 무리한 압존법 사용을 자제토록 했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