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긋지긋한 충남 서북부 가뭄 해소 기대…보령댐 도수로 22일 통수식

중앙일보

입력

기사 이미지

충남 보령댐 상류와 금강 백제보 하류를 연결해 하루 최대 11만5000t의 물을 백제보에서 보령댐으로 공급할 보령댐 도수로에 22일부터 물이 흐르기 시작한다.

국토교통부는 21일 황교안 국무총리와 김경환 국토부 차관, 지역주민 등 300여 명이 참석하는 통수식(通水式)을 22일 백제보 하류 6.7㎞ 지점에 조성된 취수장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보령댐 도수로는 지난해 극심한 가뭄으로 서산·보령·홍성 등 충남 서북부 지역 유일한 수원인 보령댐의 저수율이 20% 수준까지 떨어지자 작년 9월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건설이 결정됐다.

도수로가 건설돼 백제보에서 보령댐으로 물이 보내지면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으로 조성된 보에서 가뭄지역으로 물이 공급되는 첫 사례가 된다.

국토부와 한국수자원공사(K-Water)는 도수로 건설이 결정된지 약 3개월만인 지난 1월 말 관로 21.9㎞와 취수장, 물처리시설, 가압장 2곳의 공사를 마치고 시험운영을 해왔다. 사업비로는 총 640억원이 들었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기단축을 위해 취수장·가압장 콘크리트 외벽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등 신공법을 적용했다”며 “가뭄으로 인한 제한급수와 도수로 공사로 인한 불편을 견뎌준 지역주민의 역할도 컸다”고 말했다.

앞서 충남도는 보령댐 도수로 공사가 완료됨에 따라 국토부와 내부합의를 통해 지난 16일부터 이 지역의 통수 및 제한급수 해제를 결정했다. 지난해 10월 8일부터 내려졌던 충남 서부권의 제한급수가 132일만에 해제된 것이다.

도는 금강~보령댐 도수관로 공사가 지난달 100% 완료됨에 따라 그동안 단계적 통수실험을 통해 이음새 부분에 하자가 있는지 등의 확인 과정을 거쳤고, 당초 이달 말 본격적인 통수를 실시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말 25%대까지 상승했던 보령댐 저수율이 동절기 수돗물 흘려보내기, 동파 및 누수 등 계절적 요인으로 21%대까지 낮아져 가뭄 사태가 다시 악화되면서 통수 시점을 앞당긴 것이다.

황정일 기자 obidius@joon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