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령탑은 문체부 국장, 전담기구 설치 시급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467호 4 면

박근혜 정부는 일본 같은 규모의 본격적인 관광정책을 내놓은 적이 없다. 현재 관광정책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전담 국장 한 명이 담당한다. 문체부 내에서 목소리를 내기 어려울 수밖에 없는 구조다. 관광상품 개발은 완전히 시장에 맡겨져 있는 상황인데 이래서는 한계를 극복할 수 없다. 일본처럼 교통이나 면세 같은 대형 인프라는 정부가 깔아 주고 지원해 줘야 활성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본은 정부 지원에 힘입어 ‘에어비앤비(가정집 민박)’가 진작에 활성화되면서 숙박부터 교통·면세·해외 홍보까지 체계화돼 있다. 한국은 지난달 중국에서 한국 방문의 해를 선포했지만 연예인 얼굴을 내세웠을 뿐 인프라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다.


한국은 관광청을 즉각 신설해 신속한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상빈 한양대 교수는 “관광으로 일자리 창출에 성공하는 나라들은 하나같이 관광 전담 정부기관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캐나다·호주·뉴질랜드·태국·프랑스·일본 등은 관광산업이 활성화되고 있다. 일본은 원래 관광청이 없었다. 그러나 2007년 한국에 외국인 유치 실적에서 역전당하자 2008년 관광청을 설치했다.


그로부터 8년 만인 지난해 한국을 따돌리는 성과를 거뒀다. 이기종 경희대 관광학과 교수는 “유명한 리조트 하나 없는 한국에 외국인이 몇 번이고 다시 찾아오기 위해선 규제 완화를 포함해 정부 차원에서 관광정책을 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광청이 할 일은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연간 900건에 이르는 관광 불편부터 해소해야 한다. 가장 많은 불편함은 역시 택시 서비스와 바가지였다. “택시로 인천공항에서 서울 중구에 있는 호텔까지 갔는데 택시기사가 60만원을 요구했다”(말레이시아 관광객), “A역 4번 출구 노점상에서 김밥 한 줄에 1만원을 냈다. 나중에 인터넷 검색을 해 보니 2000원 정도의 평범한 음식인 걸 알고 화가 났다”(대만 관광객)는 등의 불만이 줄을 잇고 있다.


지난해 한국을 찾은 유커(遊客)는 600만 명이다. 중국인이 한 번씩만 한국을 찾아도 220년이 걸린다는 얘기다. 이들만 잡아도 관광은 미래의 먹거리로 충분하다.


김현예 기자 hyk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