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구 “우선추천 확대” 김무성 “공천룰 벗어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이 공천 방식을 두고 충돌했다.

이 “후보간 이견 땐 100% 국민 경선”
황진하 “공천위서 합의 안된 내용”

 이 위원장은 16일 기자회견을 열고 “모든 광역시·도에 최소 한 곳에서 3곳까지 ‘우선추천지역’을 정하고 이를 정치적 소수자를 배려하기 위한 대책으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전국 17개 광역시·도의 253개(현재는 246개·선거구 획정안 합의 시) 지역구 가운데 17~51곳에 여성·청년·장애인 등을 경선 없이 중앙당이 추천해 주는 사실상의 ‘전략공천’을 하겠다는 뜻이었다.

이 위원장은 “적합한 지역을 찾아낸 뒤 최고위원회에 보고하겠다”며 “최고위에서 문제가 있다면 다시 검토하겠지만 공천위원 3분의 2 이상이 결의하면 그대로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경선 방식에 대해선 “후보자 간 합의가 되면 당원(투표) 대 일반국민 (여론조사) 비율을 ‘30대 70’으로 하는 경선 원칙을 가져가지만 합의가 안 되면 신인을 고려해 일반국민 경선을 100%로 하게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정치 신인과 현역 의원, 당협위원장이 맞붙는 지역에서 경선 룰에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때 신인에게 유리한 여론조사 100% 방식으로 가겠다는 뜻이었다.

 그러자 김 대표는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우선추천지역을 확대하는 방안 등은) 오랜 기간 수차례 토론을 거쳐 만든 공천 룰에서 벗어나는 일”이라며 “공천위는 공천 룰 속에서만 활동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공천위 부위원장인 황진하 사무총장도 “이 위원장이 기자회견을 하는 것도 몰랐다”며 “합의가 안 된 내용을 (이 위원장) 스스로 합의가 됐다고 생각하고 발표했다”고 해명했다.

 익명을 원한 한 현역의원은 “후보마다 이해관계가 다 다른데, 사실상 당원을 배제한 경선 방식을 도입하겠다는 게 아니냐”며 "이 위원장의 독단이 도를 넘어섰다”고 말했다.

 황 사무총장은 “18일 회의가 다시 열릴 때 매듭을 지어 나가자고 제안했고, 그 회의를 거쳐 분명한 공천위 결정사항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공천위는 18일 각 후보에게 안심번호로 전환한 지역구 당원 명부를 제공하고 20일부터 후보자 면접을 실시한다.

박유미 기자 yumip@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