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신기술인증 신뢰성 및 기술력 인정, 매출액 증가!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농기평, 원장 이상길)은 2014년도에 인증된 농식품신기술(22개 기술)에 대하여 2015년도 상용화 추진실적을 조사한 결과, 신기술 적용 제품 출시 확대 및 매출액 증가(129.7억원, 전년대비 33%↑) 등 시행 초기임에도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고, 농식품기술의 수명주기(5~10년)를 감안할 때 앞으로 더 큰 성과 창출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2016년도 신기술인증 시행 공고, 3월 2일까지 신청·접수 가능

기사 이미지

* 신기술인증제(NET)는 국내 최초로 개발하거나 기존 기술을 혁신적으로 개선·개량한 우수기술을 정부가 인증해 줌으로서, 신기술이 적용된 제품의 신뢰성 및 구매력 제고를 통해 초기 시장진출 기반을 조성하도록 지원하는 제도로서, 2014년부터 「농림식품신기술(NET)인증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2014년 11월에 처음으로 인증한 22개 농식품신기술(신규 6, 시범사업 16)에 대하여 신기술 적용 제품의 출시, 생산, 판매실적 및 NET마크 사용여부 등 1년간의 상용화 추진실적을 점검하고, 주요 애로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주요 내용으로 ⓛ 18개 기업(82%)에서 신기술 적용 제품이 출시되었고, 16개 기업(73%)에서 출시된 제품 등에 NET마크 표시를 사용하고 있으며, ② 신기술 적용 제품의 매출액(‘15년 추정)은 총 129.7억원 규모로 ’14년 대비 약 33% 증가하였고 ③ 18개 기업(82%)에서 농식품신기술(NET) 인증 효과 등에 만족을 표시하였다.

 2014년도 대비 신기술 적용 제품을 출시한 기업은 27%(‘14년 12개 → ’15년 18개), NET마크 사용 기업은 18%(‘14년 12개 → ’15년 16개) 각각 확대 되었고, 기술 적용 제품의 매출액(‘15년 추정)은 129억 7000만원으로 ’14년도에 비해 매출액이 33% 신장되었다. 이는 지난해 8월 발표한 농식품 6차산업 인증사업자 평균 매출액 증가율(11.2%)에 비해서도 상당히 높은 수치이다.

농식품신기술 적용 제품의 매출액이 증가한 대표 사례로 디에프아이(주) 최규준 대표는 2014년 농식품신기술 인증 이후 2015년 개별 분방 착유 시스템인 ‘myBOT(MB-T)’을 시장에 출시하여 약 6억 7000만원의 매출 달성하였고, 향후에도 매년 10억 이상의 꾸준한 매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18개 기업에서 신기술인증 효과에 대하여 ‘만족’ 한다고 하였고, 이는 지난해에 비해 27% 상승한 수치이다. 다만, 추가 기술개발 지원 및 시설, 기자재 확충 자금 부족 등의 다양한 애로사항도 함께 제기하였다.

한편, 2016년도 상반기「농림식품신기술(NET)인증제」시행계획은 2월 1일 공고된다. 신청자는 2월 17일부터 3월 2일까지 신청서 및 구비 서류 등을 갖추어『정부 3.0』신기술인증제 홈페이지(www.newat.or.kr)를 통해 신청·접수가 가능하다.

또한, 신기술 인증제 설명회를 개최하여 신청 자격, 신청서 작성 방법, 구비 서류 및 3단계 심사과정 등을 상세히 안내 할 예정이며 관심 있는 기업, 출연연, 대학 등 관계자는 누구나 참석 가능하다.
※ 설명회 개최 : 2016. 2. 16.(화) 14:00~ , 농기평 별관 회의실(7층)

농기평 이상길 원장은 “농식품신기술인증제 시행 초기임에도 신기술 적용 제품 출시, 매출액 증가 등의 가시적 성과를 창출한 기업들의 노력을 높이 평가하고, 앞으로 신기술 발굴·인증을 확대하고 그 동안 제기된 애로사항 해결 및 추가적인 다양한 혜택 발굴 등을 통해 농식품신기술의 상용화와 시장진출 지원을 한층 더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정부 3.0』신기술인증제 홈페이지(www.newat.or.kr)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이 기사는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으며, 해당기관에서 제공한 보도 자료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