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장 사고, 제풀에 넘어진 게 가장 많아…주로 무릎 다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4면

기사 이미지

스키장에선 가장 흔한 사고는 혼자 미끄러져 다치는 부상이다. 고난도의 상급코스보다 초급코스에서 사고가 많다.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2010년부터 3년간 스키·스노보드를 타다 다친 사람의 수는 연평균 1만714명이다. 사고 유형은 절반 이상인 5850명(54.6%)이 혼자 넘어져 다친 경우였다. 그다음으로는 충돌 사고가 잦았다. 스노보드 이용객끼리 충돌(2077명)하거나, 스키와 보드 이용자들이 충돌(1704명)한 경우다. 국민안전처 관계자는 “스노보드 이용객이 늘면서 보드 사고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사고 원인으로는 부주의에 따른 사고가 6639건(62%)으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은 과속으로 인한 사고(2051건)였다. 시간대는 정오~오후 6시(4686건·43.7%)에 사고가 많이 발생했다. 이 관계자는 “점심 식사 이후 나른함을 쉽게 느껴 안전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또 기온이 높아 슬로프 표면이 녹기 때문에 부상 위험이 커진다”고 설명했다.

 사고가 발생하는 코스는 초급코스가 4718건(44.0%)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중급코스(4508건), 상급코스(1488건)순이었다. 한 스키업계 관계자는 “초급코스는 서툰 사람이 많은 데다, 인파가 몰려 충돌이 많다”며 “경사가 심한 상급코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숙련됐기 때문에 오히려 사고 발생 가능성이 낮다”고 말했다.

 다치는 신체 부위는 무릎이 1660건(15.5%)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머리(1117건), 어깨(1008건) 순이었다. 국민안전처 관계자는 “스키나 스노보드가 눈에 박힌 상태에서 무릎이 꺾이면 십자인대가 끊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부상자의 연령대는 20~30대가 가장 많았다. 한국소비자원이 2010년부터 4년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를 통해 수집·분석한 정보 1221건을 살펴보니 20대와 30대가 각각 37.4%(440건), 22.7%(267건)였다. 중고교생 등 10대 부상자는 20.0%(236건)였다.

조진형 기자 enish@joongang.co.kr

[통계로 본 서울]
▶"여기만 오면 막혀" 서울 교통정체 유발 1위는
올해 공휴일 66일 … 설·추석 연휴 5일씩
‘연인 선물’ 관심 줄고, ‘조카 선물’ 관심 늘어

▶강남통신 기사를 더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