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지난해 성평등점수 69.9점으로 소폭 개선…의사결정 부문 여전히 저조

중앙일보

입력

기사 이미지

국가성평등지수 분야별 현황 [자료: 여성가족부]

지난해 우리나라의 성평등 점수는 69.9점으로 전년보다 소폭 개선됐지만, 의사결정 부문의 성평등 수준은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여성가족부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의뢰해 분석한 ‘2015년 한국의 성평등보고서’에 따르면 완전히 성평등한 상태를 100점으로 볼 때 지난해 기준으로 국가성평등지수는 2013년(68.7점)에 비해 1.2점 상승했다.

성평등지수는 가족, 복지, 보건, 경제활동, 의사결정, 교육ㆍ직업훈련, 문화ㆍ정보, 안전 등 8개 부문으로 산정한다. 부문별로는 교육ㆍ직업훈련이 96.3점으로 성평등 수준이 가장 높았다. 이어 보건 부문(96.2점), 문화·정보 부문(86.6점), 복지 부문(71.6점), 경제활동 부문(71.3점) 등의 순이었다. 의사결정 부문은 18.7점에 그쳐 성평등 수준이 가장 낮았으며, 2009년 이후 계속 10점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부 관계자는 “국회의원 성비와 5급 이상 공무원 성비 등이 점차 개선되고 있으나 아직 다른 부문에 비해 개선 추세가 더디기 때문”이라면서 “여성의 의사결정직 참여 확대를 위한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13년에 비해 성평등 수준이 가장 많이 개선된 부문은 가족 부문으로 전년보다 3.9점 오른 66.7점을 기록했다. 남성 육아휴직자가 2013년 2293명에서 지난해 3421명으로 49% 가량 큰 폭으로 늘어난 영향이라고 여가부는 설명했다.

지난해 지역성평등지수는 70.2점으로 2013년(69.3점) 대비 0.9점 올랐다. 16개 시·도별로는 강원·대전·서울·충북 지역이 상위에 올랐고, 경북·울산·전북·충남 등은 하위에 속했다. 여가부는 의사결정이나 안전 등 모든 분야의 양성평등 수준을 한 단계 더 끌어 올릴 수 있도록 ‘제1차 양성평등기본계획 2016년도 시행계획’에 개선방안을 반영해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황수연 기자 ppangsh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