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10월 외환보유액 3696억 달러…두달째 증가, 세계 7위 규모

중앙일보

입력

 

기사 이미지

[서울 을지로 외환은행 본점에서 직원이 시중에서 유통됐던 달러를 정리하고 있다]

10월 외환보유액이 9월에 이어 두 달 연속 증가했다. 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3696억 달러로 전달(3681억1000만 달러)보다 14억9000만 달러 늘었다. 경상수지 흑자가 장기화되면서 올해 6월 역대 최고(3747억5000만 달러)를 기록했던 외환보유액은 지난 7월과 8월 달러 강세 영향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하지만 환율 변동폭이 줄어들고 외화자산 운용수익이 늘어나면서 9월과 10월엔 증가했다.

자산 유형별로는 예치금이 253억4000만 달러로 전달보다 12억6000만 달러 늘었고, 유가증권(국채·정부기관채·회사채·자산유동화증권)도 3346억 달러로 전월보다 2억6000만 달러 증가했다. 반면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은 34억4000만 달러로 전달보다 3000만 달러 줄었다. IMF에서 납입한 출자금의 일부를 찾을 수 있는 권리인 IMF포지션은 14억3000만 달러로 전달과 같았다. 매입 당시 장부가격으로 표시되는 한은의 금 보유액은 8월과 같은 47억9000만 달러다.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9월 말 기준 3681억 달러로 세계 7위를 기록했다. 중국이 3조5141억 달러로 1위를 지켰고 일본(1조2489억 달러), 사우디아라비아(6623억 달러), 스위스(5989억 달러), 대만(4263억 달러), 러시아(3713억 달러) 순이었다.

하남현 기자 ha.namhyun@joongang.co.kr

<주요국 외환보유액>


순위

국가


외환보유액
(억달러)


1

중국

35141

2

일본

12849

3

사우디

6623

4

스위스

5989

5

대만

4263

6

러시아

3713

7

한국

3681

8

브라질

3614

9

인도

3508

10


홍콩

3458

*자료 : 한국은행
*2015년 9월말 기준(사우디는 8월말 기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