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특검 그만'에 발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대북송금 특검에 대한 노무현 대통령의 입장이 수사기간 연장 거부 쪽으로 기울자 정치권의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 민주당은 기간 연장 반대를 기정사실화하고 나섰다.

반면 한나라당은 정국 경색의 책임론까지 미리 거론하며 기간 연장 문제를 국회 법안처리 등과 연계하겠다고 경고했다.

한나라당 박종희(朴鍾熙)대변인은 22일 "대통령은 특검법을 수용할 때의 정신으로 돌아가라"며 "기간 연장을 거부할 경우 정국 경색의 모든 책임은 盧대통령과 민주당이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에 대한 압박 수단으로 한나라당은 세가지를 꺼내 보였다. 새로운 특검법 제출과 국무위원 해임건의안 처리 강행, 그리고 민생법안을 제외한 각종 법안의 국회 심의 거부 등이다. 기간 연장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이 수단들을 모두 동원하겠다는 것이다.

이규택(李揆澤) 총무는 "盧대통령이 특검 연장을 거부할 경우 여야 관계는 엄청난 갈등으로 갈 것이며 야당은 더 이상 국정에 협조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지원 전 대통령 비서실장의 1백50억원 수수 의혹에 대해 특검 대신 검찰이 수사하게 하자는 주장에 대해서도 한나라당은 반대 입장을 분명히했다.

朴대변인은 "지난 2월 검찰이 남북 문제에 대한 사안은 수사하지 않겠다고 한 만큼 검찰은 자격이 없다"고 못박았다.

한나라당 대북송금 의혹사건 진상규명특위(위원장 李海龜)도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어 특검 기간 연장과 김대중 전 대통령 조사를 촉구했다.

특위는 특검이 기간 연장을 해서 밝힐 사안들로 ▶5억달러 대북송금 주체가 현대인지 김대중정부인지 여부▶대북송금이 정상회담 대가인지 경협 대가인지 여부▶뒷거래로 보내진 돈의 규모▶비자금 의혹 규명 등을 꼽았다.

반면 민주당 김근태 의원 등 61명(개혁당 김원웅 의원 포함)은 이날 "대출 과정과 성격 등 대북송금의 의혹에 대한 진실은 이미 밝혀진 만큼 특검 기간 연장으로 남북이 쌓아온 신뢰와 6.15 공동선언 정신을 훼손해선 안된다"는 집단성명을 발표했다. 金의원 등은 "특검을 계속하면 국론 분열이 생길 수 있다"면서 특검 종료를 주장했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