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이태진 전 국사편찬위원장 "현행역사교과서, 정부초기 청와대도 열흘간검토…일본 속으로 미소지을수"

중앙일보

입력

이태진 전 국사편찬위원장(서울대 명예교수)이 현행 한국사교과서가 좌편향이라는 주장에 대해 "(박근혜) 정부 초기에 검인정 작업 심사가 일단 끝났을 때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실에서 한 부를 가져가서 한 열흘 간 검토를 했다. 그러니까 좌편향 내용을 많이 담고 있는 그런 책은 객관적으로 볼 때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 전 위원장은 30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만약 그런 게 남아있으면 고치면 되는데, 그걸 꼬투리로 제도를 바꾸는 건 현명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 때인 2010년 9월부터 현 정부 출범 이후인 2013년 9월까지 국편위원장을 지낸 전직 국사편찬위원장이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 입장을 밝힌 것이다.

이 전 위원장은 이날 "현행 교과서가 좌편향돼 있다는 얘기를 듣고 보면서 너무 섭섭했다"며 "사실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 때 한국 근현대사라는 선택과목이 있었는데, 굉장히 좌편향돼 있어서 이명박 정부가 그 교과서를 폐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내용적으로 MB정부는 적어도 중도 우쪽으로 바꾸자고 해서 제가 그 일을 맡아 했다"며 "정치적으로 보는 시각에 따라 중도쯤에 와 있는 교과서 안에도 뭔가 좌편향 요소들이 숨어있을 수는 있는데, 같은 새누리당 정권이니 계승해 검인정 제도 속에서 고쳐나가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이 전 위원장은 "현대사 부분에 북한의 과거 역사 관련 기술이 왜 이렇게 많이 있느냐는 질문을 하는데, 근현대사 교과서를 한국사에 통합하면서 비율이 높게 됐다"며 "그런 문제가 있으면 같은 새누리당이 계승해서 고치는 게 빠르지, 지금 제도 자체를 바꾸니까 민주주의에 역행한다고 사회적 반발이 굉장히 심해지지 않았느냐"고 말했다.

이 이원장은 국정교과서에선 일본에 비판적인 서술도 약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지난번 검인정 교과서 중에 심사할 때, 그 교과서에 일제시대가 우리나라를 근대화시켰다는 식민지 근대화적인 요소가 많이 들어가 있었다"며 "그래서 제가 장관에게 '이건 반드시 고쳐야 한다'고 얘기했다"고 전했다. 이어 "오히려 단일교과서는 국가적인 입장에서 쓰는 것인데, 일본에 대해 강한 비판을 담으면 일본이 외교적으로 문제 삼을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자유롭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일본이 속으로 미소를 지을 수 있다"고 했다.

국정화와 관련해 이 위원장은 "검인정교과서는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교과서 형태"라며 "한 입장에서 불만이 있더라도, 획일적인 것보다는 내용의 다양성이 중요하다. 그것이 자유민주주의를 키워가는 힘"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국편위에 국정교과서 발간을 맡긴 것과 관련해서도 "과거 예로 보면 정권의 영향을 완전히 배제하기 쉽지 않다"며 "이 정부가 2년여 남았는데, 교과서 만드는데 2년을 쓰면 결과에 대해 검증할 시간이 없다. 만들어놓은 걸로 끝나고 부족한 게 있으면 다시 조정할 시간이 없다"고도 했다.

김성탁 기자 sunt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